정부가 과학기술 분야의 인재 유출을 막고, 해외의 우수 인재를 유치하기 위한 정책 마련에 착수했다. 이를 위해 범정부 차원의 민관합동 태스크포스를 출범하고, 오는 9월 새로운 인재 정책을 발표할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8월 12일 서울 종로구의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과학기술인재 유출 방지 및 유치 대책’ 마련을 위한 태스크포스(TF)의 출범 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TF는 정부 부처와 민간 전문가가 함께 참여하는 구조로, 연구자 유출을 막고 젊은 인재의 국내 성장 생태계를 강화하는 동시에, 해외에서 활동 중인 이공계 우수 인재들이 국내로 돌아오거나 정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안을 논의한다.
TF는 구혁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과 경계현 삼성전자 고문이 공동 위원장을 맡았다. 이외에도 9개 정부 부처의 실장급 인사와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산하 미래인재특별위원회 민간 위원들이 참여해, 과학기술 인력 육성과 관련된 다양한 현장 의견을 수렴하게 된다. 과기정통부는 TF 출범 전인 7월부터 부처 간 실무 TF를 통해 연구기관, 기업, 대학교, 외국인 정주 여건 등 총 다섯 차례에 걸쳐 현장 목소리를 청취해 왔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는 인재 유출의 근본 원인으로 경쟁력 있는 보상 체계의 부족, 경력 이동의 제한, 다양성과 자율성이 떨어지는 연구 환경 등이 지적됐다. 경계현 고문은 “많은 젊은 과학기술인에게 한국은 매력적으로 느껴지지 않는다”며 “자유로운 이직, 존중받는 노동환경, 창의성을 발현할 수 있는 조건 등에서 한국이 부족하다는 피드백이 많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서 “정책이 실천으로 이어지려면 기업처럼 결과 중심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이 TF를 통해 과학기술 인재의 유입부터 정착까지 전 주기에 걸친 정책 과제를 발굴하고, 각 부처의 제도적·재정적 지원을 연계한 실행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구혁채 차관은 “해외 대학, 기업, 연구소로부터 제안을 받고 고민 중인 이공계 인재들도 존재한다”며 “이번 대책이 대한민국 과학기술 분야에도 미래가 있다는 확신을 줄 첫걸음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 같은 흐름은 세계 각국이 첨단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인재 확보에 치열한 노력을 기울이는 가운데, 한국 역시 글로벌 인재의 무한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한 전략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향후 발표될 세부 정책은 이공계 인재 유출 방지뿐 아니라, 반도체, 인공지능, 첨단 바이오 등 국가 전략 산업의 지속적인 경쟁력 유지와도 직결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