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내년부터 인공지능 기반 의료기술의 상용화를 돕기 위해 의료 인공지능(AI) 제품과 솔루션 20개에 대해 실증(테스트 및 검증) 과정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는 병원 현장에서 실제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신기술 개발 기업의 시장 진입을 돕기 위한 정책적 포석이다.
보건복지부는 9월 10일 ‘의료 데이터 중심병원’ 컨소시엄의 최고정보책임자(CIO)들과 간담회를 열고, 의료데이터 활용을 통한 디지털헬스 산업 고도화 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는 의료 인공지능 생태계 조성, 데이터 활용 제도개선, 병원-기업 간 협력 모델 등에 대한 다양한 의견도 오갔다.
특히 내년부터는 의료기관이 보유한 임상데이터를 인공지능 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이터 바우처 제도가 확대된다. 올해 8개였던 바우처 제공 과제가 내년에는 40개로 늘어나게 된다. 주로 스타트업이나 중소기업들이 대상이며, 기업은 이 바우처를 통해 병원으로부터 분석용 데이터를 제공받아 제품 개발에 활용할 수 있다.
의료 데이터 중심병원 사업은 병원에 쌓인 방대한 진료 기록, 영상자료, 유전자정보 등을 민감정보 보안을 지키는 범위 내에서 디지털 헬스 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구축된 국가사업이다. 현재 7개 컨소시엄이 선정돼 참여하고 있으며, 각 컨소시엄은 서울대병원, 삼성서울병원, 고려대병원 등 전국 43개 의료기관으로 구성돼 있다.
정부는 이러한 기반 위에서 실증 지원 사업을 병행함으로써 인공지능 제품이 실제 임상에서 검증되고 신뢰받는 의료기술로 자리잡도록 하겠다는 계획이다. 복지부는 우선 검증 여건이 갖춰진 병원을 중심으로 직접적인 테스트 환경을 조성하고, 임상 적용성과 안전성 등을 검토할 예정이다.
이 같은 흐름은 향후 디지털헬스 산업의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계기가 될 수 있다. 그동안 기술력은 있지만 병원 접근이나 실제 이용 사례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던 스타트업들에는 사업화의 문이 열릴 수 있고, 나아가 환자 맞춤형 진료, 예측 진단 기술의 상용화를 앞당길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