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 AI 70% 도입·반도체 1,700억 달러 수출…정부, '첨단 산업 강국' 청사진 제시

| 연합뉴스

정부가 인공지능 기반 제조혁신과 핵심 산업의 기술 고도화를 통해 세계 4대 제조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비전을 밝혔다. 아울러 재생에너지 확대와 전력 인프라 개선 등 산업 전반의 탄소중립 기반을 구축해 미래성장 기반을 본격적으로 마련하겠다는 전략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9월 16일 국무회의에서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확정된 123대 국정과제 중, 주관 부처로서 7개 과제의 추진 계획을 공개했다. 산업부는 인공지능 팩토리(지능형 공장) 및 휴머노이드를 포함한 산업용 AI 도입 확산을 통해 2030년까지 제조 현장의 AI 활용률을 70%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러한 변화는 국내 제조업체의 자동화 수준과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리는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대한민국이 전통적으로 강점을 지니고 있는 반도체, 자동차, 이차전지 산업에 대해서도 국가 전략 산업으로 재정비에 나선다. 정부는 2030년까지 반도체 수출 1,700억 달러 달성과 글로벌 자동차 생산 5위권 진입, 이차전지 시장 점유율 25% 확보를 목표로 한다. 이와 관련해 반도체 분야에서는 고대역폭 메모리(HBM)와 AI 반도체 등 초격차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자동차 산업은 친환경차 및 자율주행차 중심으로의 전환을 촉진한다는 방침이다.

탄소중립을 위한 기반 구축에도 속도를 낸다. 산업부는 서해안 에너지 고속도로 구축 일정을 앞당겨, 2040년대에는 전국 산업 거점과 재생에너지를 연결하는 'U자형 전력망'을 완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민간 건설사의 역량을 활용한 일괄발주(턴키) 방식 도입 등으로 전력망 조기 완공을 추진한다. 이는 안정적인 전기 공급은 물론 지역 산업벨트 형성을 촉진할 수 있는 기반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바이오·헬스 산업도 신성장 동력으로 육성된다. 정부는 바이오 파운드리(대량생산이 가능한 생명공학 시설) 구축과 첨단 의료기기 상용화를 통해 관련 분야의 수출을 35% 이상 확대하겠다는 구체적인 목표를 내세웠다. 더불어 드론과 도심항공교통(UAM) 분야에서도 핵심 부품의 국산화율을 2030년까지 70% 이상으로 끌어올린다는 계획도 병행 중이다.

이 같은 산업 전략은 전체적으로 한국 산업의 체질 개선과 가치사슬의 고도화를 겨냥하고 있으며, 정부는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가 산업 현장에서 실현될 수 있도록 민간기업, 지자체와의 협업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앞으로 이러한 움직임이 계획대로 이행된다면, 한국은 단순한 제조 강국을 넘어 첨단 기술 기반의 산업 선도국으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