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중소기업의 개인정보 관련 기술 개발과 시장 진입을 돕기 위한 지원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대상은 개인정보 보호·활용 기술을 보유하거나 개발 중인 중소·새싹 기업이며, 신청 기간은 다음 달 15일까지다.
이번 사업은 서울테크노파크와의 협력으로 이뤄지며, 기술개발과 판로개척 두 가지 분야를 중심으로 구성돼 있다. 특히 인력이나 자금 부족으로 개인정보보호 기술의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겠다는 것이 목적이다. 정부는 이를 통해 국내 개인정보 기술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의도다.
기술개발 분야에서는 전문가를 기업과 1대1로 연결해 최대 3회까지 기술 자문을 제공한다. 기술 애로 해소는 물론 기술이전, 공동 연구개발(R&D) 기회로도 이어질 수 있도록 구성했다. 중소기업이 만든 시제품을 대상으로 성능 평가·검증도 3회까지 지원하며, 아이디어 단계에서 완성도 높은 제품 개발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돕는다.
사업화 단계의 지원도 병행된다. 기업들이 시장에 진입하거나 투자 유치를 받기 위해 필요한 과정을 지원하는데, 기술사업화 컨설팅 뿐 아니라 실제 환경에서 시제품을 실증하는 기회도 제공된다. 이처럼 기술뿐 아니라 사업 전반에 걸친 지원 체계를 구축한 것이 특징이다.
판로개척 지원은 공공과 민간 부문으로 나뉜다. 오는 11월 12일 예정된 공공부문 파트너링 행사에서는 조달시장 진입을 희망하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기술 설명회와 소그룹 미팅이 열리고, 민간부문은 11월 19일 중견·대기업과의 수요 연계를 통해 전략적 협력을 촉진한다. 이외에도 IR(기업설명회) 컨설팅과 비공개 발표, 투자자 상담회를 포함한 투자유치 기회도 있다. 해당 행사는 11월 26일에 개최된다.
이번 지원 프로그램은 단순한 재정 지원에 그치지 않고, 사업 초기부터 시장 진입, 투자 유치까지 전 과정을 포괄하는 '패키지형 지원'에 가까운 구조다. 이러한 포괄적 지원 체계는 개인정보 관련 기술의 국내 상용화를 앞당기고, 관련 시장의 성장을 이끄는 기반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소기업들의 관심이 클 것으로 보인다. 향후 이 같은 흐름은 기술 창업의 장벽을 낮추고, 개인정보 기반 디지털 산업 전반의 경쟁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