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부총리 신설 논의 본격화…2026년 R&D 예산 편성도 착수

| 연합뉴스

과학기술 분야의 국가 정책 강화와 예산 배분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국가연구개발(R&D) 예산 설명회가 전국 권역별로 시작된 가운데, 과학기술 컨트롤타워로서의 기능 강화를 위한 '과학기술부총리' 신설도 주요 의제로 떠오르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과학기술혁신본부는 22일부터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영남권 등 전국 4개 권역에서 2026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안에 대한 설명회를 열고 있다. 첫 일정은 22일 부경대학교(영남권)에서 시작됐으며, 24일 광주과학기술원(호남권), 26일 가톨릭대학교 성의교정(수도권), 30일 한국과학기술원(충청권)에서도 오후 2시에 동일한 형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권역별 설명회는 지역별 연구기관과 대학, 기업이 정부 R&D 투자 방향을 미리 파악하고 협력할 수 있도록 돕는 취지다.

한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은 23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과학기술부총리 신설, 기술선도 성장을 위한 역할과 과제'라는 주제로 포럼을 열 예정이다. 이번 포럼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한국공학한림원, 과학기술정책연구원과 공동으로 개최되며, 경제사회 전반에서 과학기술의 전략적 중요성이 커지는 만큼 범부처 조정 기능을 갖춘 부총리직이 필요하다는 논의를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포럼에는 안준모 고려대 교수, 박찬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부원장, 박수경 한국공학한림원 부회장 등 과학기술 정책 전문가들이 참여해 발제를 진행한다. 발제에서는 부총리직 신설의 정책적 필요성, 현재 과학기술 행정조직의 한계, 글로벌 기술경쟁 대응 전략 등이 다뤄질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민간 분야에서도 기술 고도화를 위한 움직임이 활발하다. 위성 스타트업 텔레픽스는 아마존웹서비스(AWS)의 생성형 인공지능과 에이전트 서비스를 도입해 위성영상 AI 분석 서비스 '샛챗'을 향상시킨다고 밝혔다. 동시에 AWS 기반 클라우드 미션 운영센터도 구축 중이다. 이는 위성 제어부터 영상 처리 등 전 과정의 자동화를 통해 우주 개발 민간 시장의 경쟁력을 높이려는 사례로 평가된다.

이 같은 흐름은 과학기술의 전략적 육성과 국가 차원의 조직 개편 논의가 병행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향후 국무총리 직속 과학기술부총리직 신설 여부에 따라 부처 간 협업과 예산 효율성, 기술 주권 확보 방식에도 큰 변화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특히, 2026년도 국가 R&D 예산 편성을 앞두고 이러한 움직임은 정책 결정의 핵심 축으로 작용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