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네이버·카카오 등 긴급 보안 점검…“CEO가 직접 챙겨라”

| 연합뉴스

국내 주요 플랫폼 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정부의 정보보안 관련 긴급 점검이 추진됐다. 최근 연이어 발생한 대형 보안 사고로 국민 불안이 커지자, 정부가 직접 나서서 기업 최고경영진에게 보안 역량 강화를 주문한 것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0월 2일 서울 광화문에서 배경훈 부총리 겸 장관 주재로 네이버, 카카오, 쿠팡, 우아한형제들 등 주요 플랫폼 기업의 최고경영자(CEO)와 최고보안책임자(CISO)들이 참석한 연석회의를 열었다. 이번 회의는 최근 KT와 롯데카드 등에서 발생한 대형 사이버 침해 사고로 정보 유출 우려가 사회적으로 커지는 가운데, 플랫폼 기업 보안 대응 능력을 점검하고 보안 투자 확대를 유도하기 위해 마련됐다.

배 부총리 겸 장관은 회의에서 “최근 사이버 침해 사고는 단순한 일시적 장애가 아니라 국민의 재산 피해는 물론 국가의 디지털 신뢰 기반을 흔드는 중대한 사안”이라고 강조하며, 각 기업 경영진이 직접 보안 실태를 재점검하고 핵심 서비스의 안정성 확보에 나설 것을 강하게 촉구했다. 이는 단순한 지침 전달이나 요청이 아니라, 기업 경영 전략의 최우선 과제로 정보보호를 격상해 달라는 정부의 강력한 메시지다.

특히 배 장관은 각사 핵심 자산과 주요 IT 인프라에 대한 보안 강화를 구체적으로 지시하며, 대국민 서비스의 중단 없이 안정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기업 내부 체계를 재정비하라고 요청했다. 이는 플랫폼 기업들이 갖고 있는 막대한 데이터의 중요성과, 그에 대한 사회적 신뢰 확보가 경제 전반에 주는 파급력을 고려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네이버의 최수연 대표, 카카오의 정신아 대표, 쿠팡의 박대준 대표, 우아한형제들의 고명석 플랫폼부문장이 직접 회의에 참석한 점에서, 정부와 기업 간 보안 대응에 대한 책임 인식이 일정 부분 공유된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이날 회의를 단순한 형식적 요청에 그치기보다, 기업들이 보안 리스크를 최고경영진 차원에서 실질적으로 다루는 출발점으로 인식하길 바란다는 입장이다.

이 같은 흐름은 앞으로 정부가 디지털 경제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 민간 부문 보안체계 전반에 대한 개입 수위를 높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또한 정보보호를 단순한 기술 문제가 아니라 기업 경영의 핵심 과제로 자리매김시키려는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