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 교통·물류 넘어 일상으로…정부 '국민 아이디어' 공모

| 연합뉴스

자율주행 기술의 대중적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정부가 국민 참여형 아이디어 공모전에 나섰다. 국토교통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은 10월 13일, 일상생활 속 자율주행 서비스를 주제로 하는 국민 제안 공모전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공모전은 기술 중심의 자율주행 개발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실생활에 접목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국민이 직접 제안하도록 장을 마련한 것이 특징이다. 자율주행 기술이 더 이상 먼 미래의 기술이 아니라 국민 생활과 밀접하게 연결될 수 있다는 인식을 확산하려는 정책적 시도가 반영돼 있다.

공모 주제는 일상생활에서 자율주행을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분야를 포괄한다. 예를 들어 택배나 음식 배달과 같은 물류·유통 서비스, 버스나 택시와 같은 교통수단, 방범 및 안전순찰, 재난 대비와 감염병 방역 같은 도시 관리 분야까지 아이디어 제안이 가능하다.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형식은 국토교통부나 한국교통안전공단의 공식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응모 기한은 10월 31일 오후 6시까지이며, 접수는 지정된 이메일(gongmo@kotsa.or.kr)을 통해 이뤄진다. 제출된 아이디어는 약 2주간의 심사와 공개 검토를 거친 뒤, 11월 19일 국토교통부 누리집을 통해 수상작이 발표된다. 수상자에게는 대상 1건(국토부 장관상·상금 300만원)을 포함해 총 4건의 시상과 함께, 총상금 700만원이 수여될 예정이다.

정부는 이번 공모전을 통해 국민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실용적인 자율주행 서비스 모델을 발굴하고, 향후 정책에 반영할 가능성도 함께 열어두고 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자율주행 기술이 대규모 인프라나 고비용 차량에 국한된 것이 아닌, 소규모 생활 단위에서도 구현 가능함을 보여주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흐름은 자율주행 기술이 첨단 산업에 머무르지 않고, 지역 사회나 일상 활동 속으로 자연스럽게 확산되는 새로운 전환점이 될 수 있어 주목된다. 국민이 직접 참여하는 제안을 통해 권역별 맞춤형 서비스 모델이나 사회적 수요 기반의 혁신 사례들이 발굴될 경우, 향후 자율주행 기술의 상용화와 제도화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