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첫 ‘지자체형 공공임대주택’ 준공… 영월에 청년·신혼부부 몰린다

| 김민준 기자

강원도에서 주거난 완화를 위한 새로운 시도가 첫 결실을 맺었다. 영월군 덕포지구에 강원형 공공임대주택 1호가 준공되며, 청년과 신혼부부의 지역 정착을 목표로 한 맞춤형 주거지원 모델이 현실화됐다. 이 ‘행복가(家)’ 단지는 지역 특성을 살린 설계와 복합 기능을 갖춘 공간 구성으로 주거와 창업, 돌봄을 아우르는 거주 생태계를 구현했다.

이번 사업은 도와 시군이 공동으로 기획해 민간 역할 없이 지자체가 중심이 되어 진행한 점에서 주목된다. 지난 2023년 5월 착공 후 2025년 7월 입주를 시작했고, 총 102가구가 입주했다. 세대 구성은 청년형 32가구, 신혼부부형 64가구, 주거약자형 6가구로 나뉘며, 지상 18층 규모의 단지는 총 298억 원이 투입됐다. 재원은 국비 74억 원, 도비 40억 원, 군비 184억 원으로 구성됐다.

특히 1층에는 청년 창업공간이 함께 마련돼 ‘주거+창업’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복합 커뮤니티가 조성됐다는 점에서 기존 임대주택과 큰 차별화를 이룬다. 실거주에 있어 가장 큰 부담인 월세는 21평 기준 5만 3,000원 수준으로 책정돼, 실제 입주희망자들 사이에서 14대 1이라는 치열한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미 인접 타 시도에서 8세대, 총 14명이 영월로 전입을 완료하면서 지역의 인구 감소 대응에도 실질적인 효과를 보이고 있다.

김진태 강원도지사는 이번 준공식을 맞아 “영월은 앞으로도 주거뿐 아니라 의료와 돌봄이 결합한 복합 지역거점으로 성장할 것”이라며, 이어 “총 1,400억 원 규모의 예산을 들여 영월의료원도 신축 이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다음 달에는 공공산후조리원도 개원을 앞두고 있어 영월이 주거복지의 새로운 모델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강원형 공공임대주택이 처음 선보인 이번 사례는 정부와 민간이 아닌, 순수 지자체 주도의 정책 실행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단순 임대의 개념을 넘어 자립과 정주를 위한 구조적 지원으로 발전 가능성을 보여준 이번 사업이 타 지자체로 확산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