잉글랜드은행, 2026년 스테이블코인 규제 도입…“시스템적 자산 요건 명확화”

| 서지우 기자

영국 중앙은행인 잉글랜드은행(BoE)이 스테이블코인 규제를 위한 프레임워크 마련에 본격 착수했다. 이에 따라 스테이블코인을 포함한 디지털 자산 생태계 전반에 중장기적인 제도화 흐름이 강화될 전망이다.

잉글랜드은행은 2026년 하반기 최종 도입을 목표로 스테이블코인 규제안 초안을 공개하고 이에 대한 시장의 의견을 수렴하겠다고 밝혔다. 규제 대상은 영국 파운드화로 표시되며 결제에 널리 활용되는 ‘시스템적(systemic) 스테이블코인’이다. 잉글랜드은행은 이들 자산이 금융 시스템 안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발표된 제안서에 따르면,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는 전체 부채 기준 최소 40%를 중앙은행 예치금으로 보유하고, 나머지 최대 60%는 단기 영국 국채로 구성해야 한다. 이처럼 자산 건전성을 확보함으로써 투자자와 사용자 보호를 강화하고자 한다는 것이 당국의 설명이다.

보유 한도 관련 규정도 제시됐다. 개인은 스테이블코인 1종당 최대 2만 파운드(약 3,506만 원)까지 보유할 수 있고, 일반 기업은 1,000만 파운드(약 175억 3,000만 원)까지 가능하다. 다만 기업은 정상적인 영업활동에 따라 더 높은 필요가 인정될 경우 예외 적용도 가능하다는 조항이 포함됐다.

의견 수렴은 2026년 2월 10일까지 진행되며, 이후 시장 반응을 반영해 하반기 중 최종 규칙이 발표될 예정이다. BoE는 이 과정에서 기술적·경제적 평가를 병행해 안정성과 혁신 사이의 균형을 추구하겠다는 입장이다.

한편, 미국에서는 연방정부 셧다운(기관 업무정지) 가능성이 일시 해소된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국내 소비자에게 ‘2,000달러(약 270만 원) 규모의 관세 배당’을 지급할 수 있다고 언급해 눈길을 끌었다. 그는 자국 경제 회복과 소비 진작을 위한 방안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이처럼 영국에서는 제도 정비, 미국에서는 재정 부양 발언이 나오면서 불안정했던 암호화폐 시장에 단기적 긴장 완화 기대가 번지고 있다. 중장기적으로는 투자자 보호와 제도권 진입을 위한 규범 정립의 흐름이 점점 뚜렷해지는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