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소도 AI 시대…정부, 조선·해양 산업 디지털 대전환 시동

| 연합뉴스

정부가 조선·해양 산업의 인공지능(AI) 전환을 본격 추진하기 위해 산업계·학계와 협력 체계를 구축했다. 산업 경쟁력 제고와 첨단 기술 혁신을 위한 기반 마련 작업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2025년 11월 20일, 판교에 위치한 HD현대글로벌R&D센터에서 조선·해양 분야 주요 기업과 대학 등 5개 기관과 함께 인공지능 기술 개발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협약에 참여한 기관은 울산과학기술원(UNIST), 울산대학교, HD한국조선해양, HD현대중공업, HD현대로보틱스 등이다.

이번 협력의 목적은 조선·해양 산업 전반에 특화된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해 생산성과 효율성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데 있다. 조선 산업은 글로벌 시장 경쟁이 치열한 분야로, 한국은 세계적인 조선 강국으로 알려져 있지만 인력 고령화와 생산 공정의 복잡성 문제를 안고 있다. 이에 맞서 정부와 민간이 손잡고 디지털 전환 기반을 조성하려는 움직임이다.

협약에 따라 참여 기관들은 조선·해양 산업에 특화된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산업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모으는 생태계 구축, 고급 인력 양성, 지역 기반 산업 생태계 활성화 등을 공동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AI 파운데이션 모델은 특정 산업에 맞춰 사전 훈련된 대규모 인공지능 모델로, 다양한 제품 설계나 공정 자동화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선박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숙련자의 작업 데이터를 수집·분석해 자동화에 적용함으로써 ‘AI 자율 운영 조선소’ 구현도 추진한다.

정부 역시 규제 완화를 통해 산업 혁신에 속도를 붙이기로 했다. 과기정통부는 데이터 활용 과정에서의 법·제도적 장벽을 제거하기 위해 규제 샌드박스(신기술 상용화를 위한 규제 유예제도)를 적용하고, 데이터 처리 인프라 구축을 위한 지원책도 강화할 예정이다. 특히 UNIST 같은 지역 대학을 중심으로 조선 분야 핵심 인력 양성과 교육 인프라 고도화도 함께 추진된다.

산업부는 이와 함께 야드(조선소 작업장) 내 물류를 AI로 최적 운영하는 기술, 중대형 선박 블록 생산의 자동화 등을 선제적으로 개발해 제조업 전반의 자동화를 끌어올리겠다는 구상이다. 이 과정에서 용접·도장 같은 고숙련 작업자의 경험치를 데이터화한 뒤 인공지능 시스템에 접목하는 작업도 병행된다.

이번 협약은 디지털 전환과 고도화가 핵심 과제로 떠오른 조선·해양 산업에서 기술 기반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초석으로 받아들여진다. 향후 글로벌 경기나 수주 환경에 따라 AI 기술 도입이 업계 표준이 될 가능성도 있는 만큼, 이번 협력 성과가 향후 산업의 판도를 좌우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