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통령 트럼프가 바이낸스 창립자 창펑 자오(CZ)에 대한 사면을 단행한 직후, 자신은 그를 모른다고 주장해 논란이 커지고 있다. 거센 정치적 비판 속에서 트럼프는 이번 결정을 둘러싼 부패 의혹에 대해 “나는 아무것도 모른다”고 선을 그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CBS ‘60 Minutes’와의 인터뷰에서 “준비됐나? 나는 그가 누군지 모른다”고 발언하며, 자오에 대한 사면이 사적 이해관계에 근거한 것이 아님을 강조했다. 하지만 자오가 지난 2023년 미국 자금세탁방지법 위반 혐의로 유죄를 인정했던 인물이라는 점에서, 트럼프의 논리엔 설득력이 부족하다는 반응이 나온다.
비판은 정치권으로도 확산되고 있다. 민주당 소속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은 이를 ‘페이 투 플레이(pay-to-play)’ 사례로 규정하며, 특정 인물이 금전적 대가나 정치적 영향력으로 사면을 얻었다고 주장했다. 크리스 머피 상원의원도 “트럼프의 가족이 운영하는 암호화폐 프로젝트를 바이낸스가 실질적으로 후원했고, 자오의 사면은 그 댓가”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바이낸스는 트럼프 대통령 아들들과 연관된 암호화폐 벤처 ‘월드리버티파이낸셜(WLF)’의 스테이블코인 USD1의 기술개발에 일부 참여했다. 여기에 아랍에미리트(UAE) 국부펀드가 20억 달러(약 2조 6,800억 원)를 투자한 정황도 포착돼, 이해충돌 논란에 불을 지폈다.
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나는 다른 일들로 바쁘다”며 관련성을 부인했다. 그는 “아들들이 스스로 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나는 이를 관여하지 않는다. 그 산업이 유망하다고 생각했던 것일 뿐”이라고 항변했다.
트럼프는 첫 임기 당시 비트코인을 ‘사기’라고 규정하며 강력한 규제를 촉구했지만, 2024년 대선 캠페인에선 친크립토 노선을 택해 업계의 지지를 이끌어냈다. 그 결과 재집권 이후 미국의 암호화폐 정책은 급격한 방향 전환을 이루며 산업 전반에 우호적인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이번 사면 논란은 단순한 사법 판단을 넘어, 미국 정치권과 암호화폐 간의 얽힌 이해관계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당분간 이 여진은 계속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