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위원회와 시청자미디어재단이 주최한 ‘2025 바른 AI·디지털 생활 창작 공모전’이 첫 회를 맞아 전국 청소년들의 창의적인 콘텐츠로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이번 공모전은 디지털 기술을 올바르게 활용하려는 청소년들의 인식을 높이고, 미디어 제작 경험을 통해 실질적인 역량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8월 27일 서울시청자미디어센터에서 열린 시상식에서는 총 376편의 작품 중에서 영상, 카드 뉴스, 만화, 포스터 등 다양한 형식의 콘텐츠 가운데 우수작 14편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영동일고등학교 학생들이 제작한 홈쇼핑 콘셉트의 영상 ‘[LIVE] 디지털로 디톡스 즉시 실현!’과 인천 아람초등학교 학생들이 만든 웹드라마 ‘AI 친구 나나’가 각각 대상을 수상했다. 두 작품은 디지털 과의존 문제와 개인의 정보 활용 능력 향상에 대한 메시지를 창의적인 방식으로 전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올해 처음 도입된 이번 공모전은 단순한 미디어 공모를 넘어 ‘AI·디지털 역기능 예방’이라는 사회적 과제를 주제로 삼았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는다. 최근 인공지능 기술과 개인화된 디지털 환경이 빠르게 확산되면서, 청소년 사이에서 정보의 수용·활용 능력인 ‘디지털 리터러시’의 중요성도 크게 부각되고 있다.
주최 측은 이번 행사의 기획 의도가 단지 재능 있는 학생을 선발하는 데 그치지 않고, 디지털 사회에서 필요한 비판적 사고와 올바른 사용 습관을 체득시키는 데 중점을 둔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대상을 수상한 콘텐츠들도 단순한 기술 활용보다 사회적 메시지와 공익적 접근을 담았다는 점에서 교육적 가치가 있다는 평가다.
시청자미디어재단 최철호 이사장은 “이번 공모전이 청소년으로 하여금 인공지능과 디지털 기술의 긍정적 측면뿐 아니라 부작용 또한 성찰할 수 있는 계기였기를 바란다”며, “올바른 디지털 시민의식 형성을 위한 지속적인 프로그램을 확대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이 같은 흐름은 앞으로 디지털 교육의 방향이 단순한 기술 사용법 교육에서 벗어나, 사회적 책임과 민주시민 역량을 갖춘 디지털 리터러시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공모전의 주제와 수상작 경향을 고려할 때, 향후 유사한 창작 공모와 교육 프로그램이 전국적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