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소액결제 피해 문의 9만 건 돌파…실제 피해는 '빙산의 일각'?

| 연합뉴스

KT에서 발생한 무단 소액결제 관련 고객 문의가 9만 건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나면서, 실제 피해 규모가 공식 발표보다 훨씬 클 수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황정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9월 12일 공개한 바에 따르면, KT에 접수된 소액결제 관련 고객 질의는 지난 11일 오후 6시 기준으로 총 9만2천34건에 달한다. 이는 지난해 한 해 동안 접수된 전국의 전체 소액결제 민원 1만5천여 건보다 6배 이상 많은 숫자로, 단기간에 전례 없는 급증세를 보였다. 지난달 말부터 일부 소비자들 사이에서 소액결제 피해에 대한 우려가 확산된 이후, 기업 측 콜센터와 고객센터에 관련 문의가 폭주한 것으로 파악된다.

KT는 자사 조사를 통해 현재까지 확인된 피해자를 278명, 피해 금액을 약 1억7천만 원 수준으로 발표했다. 피해 사례는 대부분 불법 초소형 기지국(일명 ‘펨토셀’)을 통해 타인의 전화번호로 인증번호(ARS)를 가로채 상품권 등을 구매한 방식인 것으로 알려졌다. ARS란 자동응답시스템(Automated Response System)으로, 여러 인증 과정 중 일부 기술적 취약점이 악용되며 범행에 악용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야당은 이 같은 피해 추정치에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황 의원 측은 KT가 로그 기록과 요금 내역 등 여러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전체 거래 규모나 피해 정도를 즉시 산출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KT가 소액결제 관련 현황을 월별로만 관리하고 실시간 확인은 어렵다고한 점을 들어, 이는 실제 피해 규모를 축소하려는 시도 아니냐는 의혹도 던졌다. 황 의원은 정부 차원의 직접 조사를 통해 상황을 투명하게 규명하고, 만약 KT 측의 책임 회피 시도가 드러날 경우 강도 높은 제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KT는 “소액결제 관련 고객 문의가 평소보다 늘어난 것은 사실이지만, 현재는 그 수가 다소 줄고 있는 추세”라며 “피해 접수와 취소 처리, 추가 피해 방지를 위한 고객 지원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또 고객 편의를 위해 콜센터 운영 시간을 오후 8시까지 연장하고, 24시간 운영되는 전용 상담 채널까지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사안은 단순 해킹을 넘어, 통신사와 인증 시스템 자체에 대한 신뢰성 문제로 번질 가능성도 있다. 대규모 ‘그림자 피해’가 숨어 있을 수 있는 만큼, 당국 차원의 정밀 조사와 제도 보완이 뒤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통신업계 전반에 걸쳐 소액결제 인증 시스템에 대한 제도적 점검과 보안 기준 강화 논의도 본격화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