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고객을 대상으로 한 무단 소액결제 사건과 관련해 경찰이 중국 국적 피의자 2명을 구속하고, 이들의 배후로 지목되는 조직의 실체를 밝히는 데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피의자들이 단순 실행 역할에 그쳤다고 진술함에 따라, 실제 범행을 기획하고 지시한 주범의 정체가 최대 관심사로 떠올랐다.
경기남부경찰청 사이버수사과는 19일, 정보통신망 침해 및 컴퓨터 사기 혐의로 전날 구속된 40대 중국 동포 A씨를 대상으로 범행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A씨는 지시를 받아 불법 소형기지국을 차량에 싣고 이동하며 범행 현장을 돌았고, 상품권을 무단 결제해 이를 현금화하는 역할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A씨 진술에 근거해 그 윗선이 중국에 머무르고 있다고 보고, 공모 관계와 통신 방식 등을 집중적으로 조사 중이다.
함께 구속된 또 다른 피의자인 40대 중국 동포 B씨는 A씨와는 별도로 조사되고 있다. B씨는 모바일 상품권을 실물 현금화하는 과정에 관여했으며, A씨와는 서로 모르는 사이였던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따라 두 사람이 동일한 지휘체계 아래 움직였는지, 혹은 서로 다른 조직에서 독립적으로 행동한 것인지도 수사 대상이 되고 있다.
KT는 전날 기자회견을 통해 이번 무단 소액결제 피해가 총 362명에게 미쳤으며, 피해 금액은 약 2억 4천만 원에 이른다고 정정 발표했다. 조사 과정에서 최근 3개월간 이루어진 자동응답 전화 결제 시도 2천만 건 이상이 수면 위로 드러났고, 더 많은 피해가 있을 가능성도 열려 있는 상황이다. 경찰도 조사 확대에 따라 피해자 수와 금액은 더 늘어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번 사건에서는 범행에 사용된 불법 소형기지국 2대가 최근 추가로 발견돼, 총 4대의 기기 사용이 확인됐다. 소형기지국은 휴대폰과 통신망 사이에 끼어들어 정보가 새어나가거나 통신 신호를 조작할 수 있는 장비다. 경찰은 이 장비를 통해 어떻게 KT의 소액결제 체계에 접근했는지, 기술적인 침해 수법을 분석하고 있으며 이는 향후 유사 범죄 예방에도 중요한 단서가 될 전망이다.
현재로서는 정확한 범행 개시 시점이나 공범의 존재 여부도 미확인 상태다. 경찰은 추가 용의자나 관련 기지를 은닉한 인물이 더 있을 수 있다고 보고 조사 범위를 넓히고 있으며, 사건의 윗선이 조직범죄와 연계돼 있을 가능성까지 열어두고 있다. 이런 흐름은 향후 국제 공조 수사나 사이버 보안 정책 강화 등으로 이어질 수 있어, KT를 비롯한 통신업체 전반에 경각심을 주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