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가 최근 대규모 해킹 피해를 입은 KT와 롯데카드에 대한 현장 조사에 본격적으로 착수했다. 사이버 보안 위협이 국가 기반시설과 금융 시스템에까지 확산되는 가운데, 관련 기업과 정부 당국의 대응 체계 점검이 핵심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9월 19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 의원들은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KT 연구개발본부를 찾아 해킹 사태 관련 조사를 시작했다. 현장에는 김영섭 KT 대표를 비롯한 주요 임원진과 함께,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 관계자들도 참석해 피해 경위와 초기 대응 과정에 대한 설명이 이어졌다. 의원들은 특히 서버 침입이 어떤 경로를 통해 이뤄졌는지, 고객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은 없는지 등을 집중적으로 물은 것으로 전해졌다.
KT에 이어 방문한 롯데카드 종로 사옥에서는, 금융정보 보호 체계에 대한 질문이 주로 쏟아졌다. 롯데카드를 비롯한 금융사는 민감한 개인 금융정보를 다루는 만큼, 보안 시스템 미비로 인한 신뢰 훼손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날 현장 조사는 기업들의 실질적인 대응 능력을 점검하고, 향후 제도 개선의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한 사전 조사 성격도 갖는다.
이번 해킹 사고는 단순한 일회성 보안 사고를 넘어, 주요 통신과 금융 기관의 시스템 전반에 걸친 보안 능력이 실제에 부합하는지를 묻는 계기가 되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디지털 전환이 빠르게 이뤄지는 상황에서 사이버 위협은 산업 전반의 리스크 요인으로 부상하고 있다.
정부는 이와 관련해 해킹 대응 매뉴얼 재정비와 함께 민간 기업의 보안 투자 유도 정책을 검토 중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금융위원회도 공동 종합 대응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관련 회의를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흐름은 향후 국회 차원의 입법 논의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특히 정보보호 강화, 침해 발생 시 즉각 통보 의무화, 기업 책임 강화 등을 중심으로 한 법적 정비가 이뤄질 경우, 민간의 보안 의식과 기술적 대비 수준도 한층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