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소액결제 무단 피해, 장기 고객·알뜰폰까지…전방위 보안 구멍 드러났다

| 연합뉴스

KT에서 발생한 무단 소액결제 피해가 특정 연령대나 가입 기간과 관계없이 무차별적으로 확산된 것으로 드러났다. 피해자 중에는 최근 가입자는 물론 장기 고객도 포함돼 있어 회사 차원의 시스템 전반에 문제가 있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김장겸 의원이 9월 23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이번 사태로 피해를 본 가입자는 총 362명에 달하며, 이 가운데 20년 이상 KT를 이용한 장기 고객도 10명 포함됐다. 1999년부터 2004년 사이에 가입한 고객이 여기에 해당하며, 가장 최근 사례는 올해 7월 7일 신규 가입한 고객이었다. 이는 특정 시기에 가입한 이용자만을 노린 것이 아니라, 전체 고객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침해 가능성을 시사한다.

피해는 KT의 직접 고객뿐 아니라 KT 통신망을 사용하는 알뜰폰 사용자에게까지 영향을 미친 점도 문제의 심각성을 방증한다. 확인된 362명의 피해자 중 59명은 알뜰폰 가입자로 나타났으며, 이는 KT의 전체 네트워크 관리 체계에 허점이 있었던 것으로 풀이된다. 알뜰폰 사업자는 통신망을 대기업에 임대받아 서비스를 운영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본체인 KT의 보안 문제가 곧바로 파급되는 구조다.

연령별 피해자 구성도 다양하게 나타났다. 40대가 95명으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30대와 50대가 각각 90명, 60대 이상은 51명, 20대도 36명에 달했다. 이처럼 피해가 특정 연령층에 국한되지 않고 전 세대에 걸친 것은 전산 시스템을 통해 자동 처리되는 결제 방식이 공격받았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김장겸 의원은 "이번 사태는 개인의 부주의로 인한 것이 아니라, KT의 내부 보안 시스템 자체에 구조적 결함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며, "KT는 명백한 책임을 져야 하며, 피해자에 대한 손해 배상은 물론 향후 유사 사고를 막기 위한 종합적 대책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사건은 단순한 소비자 피해를 넘어, 통신사의 인증 시스템과 결제 보안 체계 전반에 대한 점검 필요성을 일깨운다. KT를 포함한 이동통신사는 고객 보호 차원에서 허술한 결제 승인 경로를 개선하고, 피해 재발 방지를 위한 기술적 조치를 밝혀야 할 때다. 이 같은 흐름은 향후 전자금융 및 플랫폼 기반 통신 서비스의 보안 규제 강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