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전산망 화재에 '경계' 경보 발령…국민신문고 등 서비스 차질

| 연합뉴스

국가기관 전산시스템을 관리하는 시설에서 화재가 발생하면서 관련 행정서비스에 장애가 생기자, 정부가 비상 대응체계를 가동하며 위기경보 수준을 '경계' 단계로 상향 조정했다.

행정안전부는 9월 26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정부 전산망 일부가 불안정해지자, 윤호중 장관 주재로 긴급상황판단회의를 열고 위기경보를 두 번째 단계인 '경계'로 올렸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위기상황대응본부도 즉시 가동에 들어갔다. 위기경보 체계는 관심-주의-경계-심각의 4단계로 구성되며, '경계'는 광범위한 피해 우려가 있는 중대 상황에서 발령된다.

이번 화재로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시스템으로는 국민신문고와 모바일 공무원증 등이 포함됐다. 이들 시스템은 일반 국민들의 민원 제출이나 공공서비스 이용과 연결돼 있어, 장애가 장기화할 경우 행정 효율성과 접근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각 기관은 이에 따라 안내 페이지와 대체 메시지, 알림 기능 등을 통해 서비스 중단 사실을 알리고, 복구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있다.

정부는 업무 연속성 계획(BCP, Business Continuity Plan)에 따라 필수 행정 기능의 중단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동시에 대국민 안내 메시지를 적극 활용해 혼란을 줄이고 이용자 불편을 줄이기 위한 조치를 지속 중이다. BCP는 예상치 못한 사고나 재난 발생 시에도 주요 기능을 유지하거나 빠르게 복구하도록 하는 사전 대응 체계다.

최근 공공 부문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시스템 안정성과 보안 문제에 대한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이번 사태는 정부 정보 인프라의 취약 지점을 드러낸 사례로, 향후 데이터센터 복수화나 물리적 안전 관리 등의 개선 요구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흐름은 공공 전산망에 대한 투자 확대와 더불어, 보다 정교한 위기 대응 매뉴얼 마련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동시에 민간 클라우드 활용 확대 등을 포함한 디지털 서비스 인프라 정책의 조정 필요성도 논의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