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의 화재로 인해 고용노동부의 주요 전산시스템이 일부 마비되면서 대국민 행정 서비스에 차질이 발생했다. 정부는 이에 즉각 비상 대응체계를 가동하고, 신속한 복구 및 대응 방안 마련에 나섰다.
이번 화재로 고용노동부의 홈페이지를 비롯해 노사정 협의 관련 포털인 ‘노사누리’와 공공기관 내부 정보망인 ‘노사마루’ 등의 운영이 중단됐다. 이들 시스템은 고용 정책 및 노동 관계법령 관련 정보 제공, 상담 접수, 공지사항 전달 등 행정의 실질 접점에 있는 서비스로, 정지 상태가 지속될 경우 국민 불편이 크게 가중될 수 있다.
고용노동부는 즉각 대응조치에 나섰다. 27일에는 김영훈 장관을 본부장으로 한 비상대응본부를 설치하고, 차관 주재로 실무점검 회의를 열어 시스템 우회 방안과 일시적 대체 서비스를 논의했다. 특히 주말을 앞두고 온라인 민원 접수와 정보 이용 수요가 꾸준히 발생할 것을 감안해, 가능한 복구 일정을 앞당긴다는 방침이다.
한편 자격정보시스템, 고용24, 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 등 일부 핵심 시스템은 정상적으로 작동되고 있다. 다만 이 시스템들 역시 다른 정부 부처와의 연계 서비스에서는 일부분 제약을 받고 있어, 사용자 입장에서는 일부 기능 이용에 제한을 느낄 가능성이 있다.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은 “무엇보다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는 것이 최우선”이라며 “가용한 모든 자원을 총동원해 필요한 조치를 신속히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외부 연동망이나 해당 부처 간 백업체계 마련 등, 유사 사태의 재발 방지를 위한 중장기적 점검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번 사태는 공공 행정망도 하나의 물리적 기반 위에서 운영된다는 점을 실감하게 한다. 따라서 단순한 복구 차원을 넘어, 전산망 분산 관리와 클라우드 백업 체계 강화가 중요 과제로 떠오를 수 있다. 향후 디지털 정부 전환 기조 속에서 안정성과 연속성을 병행 확보하는 시스템 구축이 보다 속도감 있게 추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