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가족부가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한 행정서비스 차질을 최소화하기 위해 긴급 대응에 나섰다. 주요 시스템은 광주센터에 위치해 정상 운영되는 가운데, 일부 기능에서는 일시적인 장애가 발생하고 있다.
27일 여성가족부는 자사의 대표 누리집과 소관 행정정보시스템 대부분이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의 광주센터에 설치돼 있어, 대전센터에서 발생한 화재에도 큰 영향을 받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대전센터를 통해 처리돼 왔던 일부 부가 기능에서 문제점이 확인됐다. 현재 여가부는 시스템 장애 복구 전까지 비상 대응 체계를 유지하며 사용자에게 안내를 지속하고 있다.
장애가 발생한 주요 기능으로는 아이돌봄시스템 실명인증과 결제, 성범죄자 알림e의 주민등록번호 본인인증, 청소년증 온라인 재발급 신청, 생리용품 바우처 결제 등이 포함된다. 이들 서비스는 대부분 대전센터와 직·간접적으로 연계되어 있어, 장애 복구 전까지 일부 제한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임시 조치를 마련해 불편을 줄이기로 했다. 아이돌봄시스템은 실명인증을 이용 이후에 진행할 수 있도록 전환했고, 결제 방식 역시 가상계좌 입금으로 변경됐다. 성범죄자 알림e는 휴대전화 인증 등 대체 방식으로 본인 확인을 안내하고 있다. 또한 보건복지부와 연계되는 생리용품 바우처와 청소년증 재발급 서비스는 관련 기관 시스템의 모니터링을 통해 정상화 여부를 수시 점검하고 있다.
화재 직후 여성가족부는 차관 주재 상황 점검에 이어, 27일에는 원민경 장관이 직접 긴급회의를 열고 후속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장관은 시스템이 원상 복구될 때까지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는 데 행정 역량을 총동원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사태는 공공기관 전산 인프라의 분산 배치가 갖는 중요성을 다시 한번 부각시켰다. 당분간 장애가 나타날 수 있는 시스템을 중심으로 불편을 줄이기 위한 임시조치가 계속될 전망이며, 정부는 향후 중복 백업체계 강화와 위기관리 프로세스 재정비 등을 검토할 가능성이 크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