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실에서 발생한 화재로 정부의 핵심 전산망이 마비되면서 민원 등 대국민 서비스의 정상화 일정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전산장비의 물리적 전소로 인해 시스템 복구에는 최소 2주 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의 발단은 지난 9월 26일, 대전 유성구에 위치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5층의 전산실에서 발생한 리튬이온배터리 화재였다. 불은 무정전 전원공급장치(UPS)에 연계된 배터리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해당 층에 설치된 96개 시스템이 완전히 전소되는 피해가 발생했다. 이 시스템에는 국민신문고, 국가법령정보센터, 온나라 시스템 등 정부의 핵심 행정 전산망이 포함돼 있었다.
특히 온나라 시스템은 공무원들이 내부 문서를 결재하고 업무를 처리하는 데 필수적인 플랫폼으로, 중단 기간이 길어질 경우 행정업무 전체가 지연될 수 있다. 또한 행정안전부를 비롯한 중앙부처 사이트 운영 시스템 다수 역시 해당 전산실에 포함돼 있어, 단순 민원서비스를 넘어서 정부 전체 온라인 기반 행정기능에 차질이 생겼다.
정부는 긴급 대응체계로 전소된 시스템을 대구센터에 위치한 민관 협력형 클라우드 인프라로 옮기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하지만 프로그램 복구와 데이터 이전에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빠른 정상화를 기대하기 어렵다. 내부적으로는 이들 시스템이 다시 가동되는 데까지 약 2주가 걸릴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다만 본원 2∼4층 전산실에 위치해 직접적인 화재 피해를 피한 551개 시스템은 통신 및 보안 장비복구가 완료되는 대로 단계적으로 서비스를 재개할 예정이다. 예외적으로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는 광주센터의 재해복구 시스템을 통해 일부 기능이 정상 가동되고 있으며, 대통령실 홈페이지는 국정자원과 연동되어 있지 않아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번 화재는 단순한 시스템 장애를 넘어, 전자정부로 전환된 국가 전산행정의 물리적 취약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향후 클라우드 전환 가속화, 재해복구 체계 강화 등 정부 전산 인프라의 구조적 개선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흐름은 향후 정부가 전체 국가 전산시스템에 대한 이중 백업체계 및 물리적 분산 배치를 본격적으로 추진하는 계기가 될 가능성이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