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실에서 발생한 화재가 전국 우편·금융 시스템에 파급을 미친 가운데, 우정사업본부가 서버 재가동에 나서면서 서비스 정상화를 위한 마무리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지난 9월 26일 저녁 발생한 전산실 화재는 정부 주요 정보시스템을 관리하는 기관인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의 5층 일부를 중심으로 전산 설비에 피해를 입혔다. 이로 인해 우체국을 통한 우편 업무와 금융 서비스, 보험 처리 업무가 일시적으로 중단됐다. 특히 추석을 앞두고 택배 물량이 급증하는 시점에 사고가 발생해 배송 지연 가능성도 우려됐다.
문제가 발생한 서버 가운데, 금융 서비스에 연동된 시스템은 국정자원의 2층에 위치해 있어 비교적 피해가 적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우정사업본부는 28일 오전부터 금융 시스템부터 우선적으로 전원을 재가동하고 안정성 검증에 착수했다. 일련의 테스트 과정에서는 현재까지 특이점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으며, 정상 서비스 복귀가 임박한 상태다.
우편 서비스 복구는 금융보다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관련 서버가 5층 상층부에 위치해 있어 상대적으로 화재 영향을 더 받았기 때문이다. 다만 직접적인 연소 피해는 피한 것으로 보이며, 지난 6월 이뤄진 G-클라우드(정부 통합 클라우드 시스템) 이전 당시 남겨둔 물류 백업 데이터가 확보돼 있어, 이를 활용한 복구 시나리오도 검토 중이다.
정부는 28일부터 국정자원관리원 내 전산 시스템을 순차적으로 재가동하고 서비스 정상화를 위한 전반적인 시스템 점검을 시작했다. 이번 사고를 계기로 주요 정보 인프라의 안정성과 재해 복구 체계에 대한 검토가 강화될 것으로 관측된다.
이 같은 흐름은 향후 디지털 정부 시스템 운영에서 재난에 대한 대응력을 높여야 한다는 요구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단일 장애 지점(SPOF, Single Point of Failure)에 대한 리스크 분산과 다중 백업 체계 마련이 정부 전산망에서 핵심 과제로 부상할 것으로 전망된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