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관리원 화재, 리튬이온 배터리 발화 의심…경찰, 정밀 감식 착수

| 연합뉴스

대전 유성구에 위치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대규모로 정부 전산망이 마비된 가운데, 경찰이 화재 원인 규명을 위해 현장 조사와 관계자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 9월 26일, 국가 주요 전산시스템이 집중된 국정자원에서는 무정전 전원장치(UPS)에 사용되던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불이 나면서 심각한 전산 장애가 발생했다. 이는 행정안전부 등 여러 정부 부처의 정보기반 운영에 직접적인 타격을 준 만큼, 사건의 정확한 발화 원인과 경위를 둘러싼 수사가 주목받고 있다.

경찰은 화재 발생 직후인 27일부터 현재까지 당시 배터리 이전 작업에 참여했던 업체 관계자 7명을 상대로 잇따라 조사를 진행했다. 법적 형사 입건은 아직 이뤄지지 않았지만, 당시 현장에 있던 13명 중 국정자원 관리원 소속 인원에 대한 조사는 향후 추가될 것으로 보인다. 경찰은 동시에 사건 당시 상황을 확인하기 위해 전산실 내 폐쇄회로(CC)TV 영상도 분석 중이다. 다만, 영상에는 화재가 발생한 정확한 지점을 촬영한 장면이 없어 과학적 감식이 핵심 수단이 되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정밀 현장 감식도 계속되고 있다. 경찰은 29일 오전에도 발화 의심 지점을 중심으로 다시 감식에 착수했으며, 현장에서 수거한 배터리 6개는 현재 전류 잔류 여부 조사 후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감식 의뢰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발견된 공구 및 관련 장비에서도 추가 단서를 찾기 위한 조사가 진행 중이다.

화재 발생 시 배터리 전원이 꺼진 상태였는지를 놓고도 검토가 이뤄지고 있다. 작업자들은 "전원을 끄고 작업했다"고 진술했으나, 배터리가 불에 녹은 상태여서 육안 확인은 불가능한 상황이며, 이 역시 전문 감식을 통해 재구성 중이다. 경찰은 업무 관련 문서와 장비 사용 내역 등 배터리 교체 작업 관련 자료를 제출받아 그 내용을 분석하고 있다.

이처럼 사건의 전모가 아직 드러나지 않은 가운데, 수사 당국은 기술적 분석과 인적 진술을 동시에 확보해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다. 최주원 대전경찰청장은 "사고 재발 방지가 수사의 궁극적인 목적"이라며 철저한 원인 규명을 약속했다. 향후 조사 결과에 따라 책임 소재가 구체화되고, 전산 기반시설의 화재 예방을 위한 제도적 개선 논의로도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