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주요 전산시스템을 관장하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에서 발생한 화재 사고의 여파로, 시중은행의 일부 비대면 서비스가 나흘째 제한을 받고 있다. 특히 주민등록증으로 본인 인증을 해야 하는 서비스가 원활히 작동하지 않아 일부 업무가 중단되고 있다.
29일 오전 현재, 신한은행을 포함한 주요 시중은행들은 실물 주민등록증 진위 확인이 필요한 입출금 계좌 개설, 인증서 발급 등의 비대면 업무를 중단한 상태다. 이는 주민등록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중앙 전산망 접근이 불가능해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여권이나 운전면허증처럼 다른 인증 수단을 사용할 경우 정상적인 업무 처리가 가능하므로, 전체적인 금융서비스에는 큰 혼란이 없는 상황이다.
은행 창구를 통한 대면 업무의 경우에도 유연하게 대처하고 있다. 예를 들어 실물 주민등록증만 있는 고객이라도, 전화 회선을 통해 주민등록 진위 확인을 받을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어, 기본적인 창구 업무는 이어지고 있다. 은행들은 직원들에게 행정안전부가 제공하는 진위 확인 전용 전화번호(1382번)를 활용해 업무를 지속하라고 지시한 상태다.
또한 이번 화재 사고로 일시 중단됐던 공공마이데이터 서비스도 점차적으로 복구되면서, 금융기관이 비대면 대출 심사를 위해 정부 보유 신용·소득 정보를 조회하는 데 드는 제약도 줄어들고 있다. 공공마이데이터는 과거에는 서류로만 제시해야 했던 고객의 경제 정보를 정부가 보유한 데이터에서 직접 수집하게 해주는 시스템으로, 최근 금융 절차의 주요 기반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한편 은행 창구 현장에서는 당장 눈에 띄는 혼란은 없다는 반응이 많다. 한 시중은행 지점 관계자는 고객 방문 수 자체에는 큰 변화가 없으며, 전산망 문제로 인한 업무 차질을 묻는 문의 전화가 다소 늘어났다고 전했다. 또 다른 관계자도 주말에 언론을 통해 사태가 널리 보도된 덕분에 금융소비자들이 미리 대체 신분증을 준비하는 등 사전 대응이 비교적 잘 이뤄졌다는 분석을 내놨다.
이 같은 전산망 장애 사태는 정부 중요 인프라의 중단이 민간 부문까지 연쇄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향후 유사한 사고에 대비한 백업 체계와 인증 수단 다변화, 고정 인프라의 지방 분산 등도 함께 검토돼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