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체국 쇼핑 서비스가 갑작스럽게 중단되면서 큰 매출 손실을 입은 소상공인을 위해 정부가 긴급 지원 대책을 마련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우정사업본부는 이번 조치로 피해 업체들의 빠른 회복과 판로 확보를 도울 계획이다.
이번 사태는 지난 9월 26일, 대전에 위치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실에서 화재가 발생하면서 촉발됐다. 이 불로 인해 우체국 쇼핑을 비롯한 일부 공공 전자상거래 시스템이 멈췄고, 특히 추석 연휴 직전이라는 최악의 시기에 서비스가 중단되면서 입점 업체 2,400여 곳이 약 126억 원 규모의 매출 손실을 본 것으로 추정된다. 우체국 쇼핑은 농‧축‧수산물과 지역 특산품을 중심으로 한 공공 온라인 유통 창구이기 때문에,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의존도가 높은 플랫폼이다.
우정사업본부는 피해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10월 말까지 '피해 신고센터'를 운영한다. 피해 접수와 동시에, 정부는 생계 긴급성이 높은 업체를 중심으로 직접 구매 등의 대책을 시행하기로 했다. 특히 유통기한이 짧아 조속한 처분이 필요한 식품류 상품을 중심으로 최대 11억 원 규모의 물량을 직접 구매할 방침이다.
이와 더불어 정부는 우체국 예금·보험 판촉용 물품 행사를 추진하면서 총 22억 원 상당의 피해 상품을 선구매할 예정이다. 민간 온라인 쇼핑몰과의 협력도 병행된다. 네이버, 카카오, 롯데홈쇼핑 등을 통한 특별 기획전을 열어 우체국 쇼핑 입점업체들의 상품을 홍보하고 판매할 수 있는 별도 채널도 확보할 계획이다. 여기에 전국 우체국 창구를 활용한 오프라인 홍보와 판매 대행도 함께 추진된다.
입점업체의 유동성 부담 완화를 위해 판매 정산금도 앞당겨 지급된다. 당초 10월 5일 예정이던 정산금 73억 원은 이틀 앞선 10월 3일부터 순차 지급될 예정이다. 아울러 서비스가 정상화된 뒤에도 한 달간은 판매 수수료를 면제해 운영 부담을 덜어줄 계획이다.
이번 사고로 인해 우체국 쇼핑 플랫폼은 한동안 정상적인 운영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에 정부는 비상 상황에서도 공급자들의 판로가 막히지 않도록 민간과 공공을 아우르는 통합적 대응 방안을 내놨다. 이런 조치는 장기적으로 공공 온라인 유통망의 안정성을 높이고, 예기치 않은 재난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위기관리 체계 점검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