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전산망 마비 여파…복구율 15.6%, 피해액 126억 넘어

| 연합뉴스

국가 주요 행정정보시스템의 핵심 거점인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중단됐던 전산 시스템 가운데 일부가 복구됐지만, 전체 정상화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전망이다. 현재까지 647개 중 101개 시스템만 복구돼 복구율은 15.6%에 머물고 있다.

이번 사고는 지난 9월 26일 정부 정보자원 통합센터인 국정자원 대전센터의 전산실에서 발생한 화재로 촉발됐다. 특히 전산시스템의 절반 이상이 밀집해 있던 5층 7-1 전산실이 전소되면서, 대민 서비스부터 업무 시스템까지 전방위적인 장애가 발생했다. 현재 완전히 소실된 7-1 전산실에 있던 96개 시스템은 민간 협력 클라우드 업체 인프라를 활용해 대구센터로 이전 중이다.

행정안전부는 현재 매일 576명의 전문 복구인력을 투입해 복구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정밀 작업이 필요한 분진 제거 인력을 기존 20명에서 50명으로 증원했고, 추가적인 인프라 확보를 통해 복구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복구된 시스템 외에도 아직 정상화되지 않은 546개 가운데 절반가량인 267개 시스템에 대해서는 대체 수단이 마련된 상태다.

이처럼 시스템 장애가 장기화되면서 시민 불편도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 등 생활에 밀접한 서비스 일부는 여전히 이용이 불가능해 110·120 콜센터로의 민원 문의가 급증하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정부24, 무인민원발급기 등 일부 핵심 시스템이 복구되면서 민원은 다소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김민재 행안부 차관은 행정문서 처리의 핵심 시스템인 ‘온나라 문서 시스템’의 조기 복구를 약속하며, 국정감사 대응 등 공공행정의 연속성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전산망 마비로 직접적인 피해도 적지 않다. 특히 추석 연휴 성수기를 앞두고 우체국 쇼핑몰 입점 소상공인들은 약 126억 원의 피해를 입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우정사업본부는 물품 직접 구매 방식으로 33억원 규모의 긴급 매입을 추진하고, 정상이후 1개월간은 판매 수수료를 면제할 방침이다. 중소벤처기업부도 2,400여 개 업체에 대해 민간 쇼핑몰 입점 지원 및 업체당 200만 원 상당의 쿠폰을 배포하는 등 지원책을 가동 중이다.

한편, 보안 공백 우려에 대해서는 정부가 통신 보안장비부터 우선 재가동한 후 일반 시스템을 복구하는 방식으로 대응했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전국적인 전산망 마비 사태가 정부의 디지털 기반 행정 인프라가 특정 지역에 편중됐다는 구조적 문제를 드러낸 만큼, 향후 분산형 시스템 구축 및 클라우드 전환 필요성이 더욱 커질 것으로 보고 있다. 이를 계기로 공공 전산 시스템 전반에 걸친 위기 대응 체계도 대폭 개선될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