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싼 LTE 요금 그대로…통신사, 5G 전환 안내 없이 소비자 외면

| 연합뉴스

통신사들이 비판을 받은 일부 LTE 요금제를 대거 폐지하면서도, 기존 가입자에게 더 저렴한 5세대 이동통신(5G) 요금제 전환을 제대로 안내하지 않아 소비자들의 요금 절감 기회를 놓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일부 LTE 요금제가 5G보다 속도와 데이터 제공량이 적으면서도 비용은 더 높다는 지적이 나오자, 통신 3사는 기존 LTE 요금제 중 절반 이상에 대한 신규 가입을 올 상반기부터 중단했다. SK텔레콤은 63종 중 36종, KT는 88종 중 46종, LG유플러스는 84종 중 52종에 대해 서비스를 중단하면서 요금제 구조조정을 단행한 셈이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기존 가입자에게는 별다른 고지 조치가 없었다는 점이다. 통신사들이 공지사항을 홈페이지에 올리는 수준에 그쳤고, 문자나 요금 명세서 등을 통한 개별 알림은 이뤄지지 않아, 많은 소비자들이 여전히 비싼 LTE 요금제를 그대로 이용하고 있다. 이들은 사실상 같은 가격에 품질이 더 나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선택지를 알지 못해, 불이익을 보는 셈이다.

실제 5G 추천 요금제로 이동할 경우 월 평균 1만 원 안팎의 요금을 아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지만, LTE 이용자 수는 올해 상반기 기준으로 전년 대비 150만 명 줄어드는 데 그쳤다. 이는 LTE 요금제 폐지 규모를 고려할 때, 많은 가입자가 요금제 변경에서 소외되고 있음을 방증하는 수치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최수진 의원(국민의힘)은 통신사들이 요금제 별 이용자 정보를 영업기밀이라는 이유로 공개하지 않고 있으며, 정부 역시 소비자 고지 의무에 대해 적극적이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소비자 보호를 위한 제도적인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요구가 커지고 있다.

이 같은 흐름은 향후 요금제 투명성과 소비자 안내 의무 강화 논의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특히 빠르게 기술 전환이 이뤄지는 이동통신 시장에서, 이용자들이 합리적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정보 접근성을 높이는 방안이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