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아이폰 가격 인상 검토… 美·中 관세에도 '정치 영향 아니다'

| 김민준 기자

애플(AAPL)이 오는 가을 출시 예정인 차세대 아이폰의 가격 인상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이 같은 움직임은 중국과의 무역 갈등이나 관세 여파를 직접적인 이유로 내세우지 않겠다는 내부 방침에 따른 것으로 전해졌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애플이 가격 인상의 배경을 정치적 상황과 분리해 소비자 반발을 최소화하려 한다고 보도했다.

애플의 대부분 제품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상호 관세' 대상에서 제외됐지만, 아이폰을 비롯한 일부 주요 기기들은 여전히 20% 수입세 적용을 받고 있다. 이 관세는 올해 초 미국 정부가 중국발 펜타닐 유입을 저지하기 위해 부과한 새로운 조치의 일환으로, 애플 제품 생산 과정에도 영향을 끼쳐온 상황이다.

이에 따라 팀 쿡(Tim Cook) 애플 CEO는 이번 분기 동안 회사가 약 9억 달러(약 1조 2,960억 원) 규모의 관세 부담을 떠안을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애플은 미국 시장용 아이폰 생산의 상당 부분을 인도로 이전했으며, 아이패드와 맥북, 애플 워치 등은 대부분 베트남에서 조달하고 있다. 그러나 가장 고가 모델인 아이폰 프로 및 프로 맥스는 아직까지 중국 공장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미국과 중국 정부는 최근 상호 관세를 일시적으로 감축하기로 합의했다. 미국은 중국 제품에 대한 관세를 145%에서 30%로, 중국은 미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125%에서 10%로 인하할 예정이다. 이번 조치는 양국 관계의 일시적 긴장 완화를 의미하지만, 기업들은 관세 리스크에 장기적으로 대비하고 있는 분위기다.

이런 가운데 애플의 주가는 이날 미국 시장에서 5% 이상 급등하며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 소문에도 불구하고 애플은 관세를 명분으로 가격 인상을 단행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유지하고 있으며, 소비자 신뢰를 유지하면서 수익성을 지키는 전략에 주력하는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