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오롱베니트, 회계 공시 자동화 솔루션 ‘DSDFlow’ 출시…XBRL 대응까지

| 연합뉴스

코오롱베니트가 기업의 재무 공시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는 새로운 솔루션 ‘디에스디플로우(DSDFlow)’를 8월 13일 출시했다. 이 시스템은 회계 보고에 필수적인 감사보고서의 작성과 제출을 대폭 간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설계됐다.

기업들이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제공해야 하는 각종 재무 정보는 그 정확성과 신속성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재무제표나 반기·분기보고서 제출 대상 기업은 정해진 기한과 형식을 지켜야 하는 만큼, 공시 작업의 부담이 크다. 이에 따라 이번에 출시된 DSDFlow는 전자공시용 파일 형식인 DSD 파일로 재무 데이터를 자동으로 변환하고, 이전 회계연도 및 직전 분기 데이터를 불러와 비교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해 작업 효율을 높였다.

이번 솔루션은 코오롱베니트가 기존에 제공하던 '베니트시그마'의 공시 기능을 특화해 개발한 버전이다. 특히 시스템 기반의 통합관리 환경이 구축돼 있어 자체 자원관리시스템(ERP)과 연동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재무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기존에는 사람이 수동으로 자료를 취합하고 입력할 때 종종 발생하던 데이터 유실이나 누락, 이력 추적의 어려움을 보완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더불어 DSDFlow는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XBRL(전자공시용 확장가능 사업보고 언어) 기준에 맞춰 DSD 데이터와의 교차 검증도 지원한다. 이 기능은 공시 문서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확보하는 데 기여한다. 또한 공시자료 주석 입력을 위한 템플릿과 자동 변환 기능도 제공돼 사용자가 실수 없이 문서를 구성할 수 있게 돕는다. 무엇보다 향후 도입이 예정된 K-국제회계기준(IFRS 제18호 등) 같은 새로운 회계체계 변화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일부 서식 구조가 사용자가 조정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회계 기준이 점차 복잡해지고, 전자공시의 중요성이 커지는 가운데, 기업의 내부 회계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정비하고 규제 대응력을 높이는 데 이 같은 자동화 솔루션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DSDFlow와 같은 시스템이 특히 회계 인력의 부담을 줄이고, 감사인의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회계 투명성과 경영 효율성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 같은 흐름은 앞으로도 데이터 기반 경영과 공시 자동화 기술이 확대되는 한편, 디지털 기반의 감사 및 규제 대응 체계가 더욱 정교하게 발전할 가능성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