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정부, 인텔(INTC) 지분 투자 검토에 주가 7% 급등… 오하이오 반도체 전략 본격화

| 김민준 기자

미국 정부가 인텔(INTC)의 지분을 취득하는 방안을 협의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인텔 주가가 하루 만에 7% 이상 급등했다. 이 같은 논의는 최근 트럼프 대통령과 립부 탄 인텔 최고경영자(CEO) 간의 백악관 회동 후 급물살을 탄 것으로 전해졌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인텔의 전략적 자산으로 부상한 오하이오 반도체 공장을 중심으로 지원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인텔은 지난 2022년 착공한 이 부지를 통해 수십 년 만에 미국 내 반도체 제조 패권 탈환을 목표로 삼았다. 그러나 초기에 예정됐던 생산 개시는 연기됐고, 현재는 2030년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에 논의되는 정부 지분 투자는, 오하이오 캠퍼스의 지정학적 중요성과 함께 280억 달러(약 40조 3,000억 원) 규모로 책정된 공장 건설 비용을 보완하려는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해당 시설에서 인텔은 14A 공정과 차세대 극자외선(EUV) 리소그래피 기술을 도입해 기술 우위를 확보할 계획이다.

인텔은 오하이오 외에도 애리조나에 320억 달러(약 46조 원)를 투입해 신규 공장을 신설 중이다. 그러나 파운드리 사업에서 아직 유의미한 고객을 확보하지 못한 상태다. 이 가운데 인텔은 지난해 바이든 행정부로부터 반도체 지원법(CHIPS Act)에 따라 78억 6,000만 달러(약 11조 3,200억 원)에 이르는 보조금을 수령했으며, 이 중 약 20%가 오하이오 공장에 배정됐다. 또한 미 국방부도 인텔의 반도체 공급망 안정화를 위해 별도로 30억 달러(약 4조 3,200억 원)를 배정한 바 있다.

이번 협상에서 미국 정부가 어느 정도 지분을 확보할 지는 아직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과거 미국제철(U.S. Steel)의 매각 과정에서 정부가 공장 폐쇄 등의 사안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는 ‘황금주(golden share)’를 요구한 전례가 있어, 비슷한 구조가 적용될지 여부도 관심을 끈다.

인텔은 블룸버그의 보도에 대해 “트럼프 행정부와의 공동 목표를 강화해 나갈 것을 기대한다”면서도 지분 투자 관련 보도에는 “추측성 발언에는 일일이 대응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번 사안은 미국 반도체 산업에서 국가 안보와 기술 주권이 전략적으로 결합되며, 민관 협력 방식이 한층 더 다양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풀이된다. 산업 생태계 전반에서 정책 리스크와 기업 전략이 점점 더 밀접해지는 흐름 속에서, 인텔을 중심으로 한 반도체 주의 향후 변동성에도 촉각이 쏠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