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항공교통(UAM)의 상용화를 앞두고 국토교통부가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핵심 사업 설명에 나서면서, 정부와 지자체 간 협업 기반이 본격적으로 다져질 것으로 보인다.
국토교통부는 2025년 8월 22일 대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UAM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11개 지자체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열고, 상용화에 필요한 세 가지 핵심 사업을 공유한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UAM 사업 추진 과정에서 지역 여건을 반영하고 안전성과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한 정부 차원의 첫 공식 협의 자리가 될 전망이다.
이날 논의되는 핵심 사업은 크게 5G 기반 상공망(CNSi) 개발, 가상통합플랫폼(VIPP) 구축, K-UAM 그랜드챌린지 추진 등 세 가지로 요약된다. 우선 상공망은 도심 하늘길을 안전하게 열기 위한 통신·항법·감시 체계로, 5세대 이동통신(5G) 기술을 활용해 항공기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충돌을 방지하는 기반 인프라다. 국토부는 지난 2022년부터 국가 연구개발 사업을 통해 관련 기술을 확보해 왔으며, 올해 안에 1차 개발을 마무리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두 번째로 소개되는 가상통합플랫폼은 실제 운항 환경을 가상 시뮬레이션으로 구현해 교통 운영과 사고 대응 체계를 사전 검증할 수 있도록 설계된 시스템이다. 이는 아직 초기 단계인 UAM 운항의 신뢰성과 정합성을 확보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세 번째 과제인 K-UAM 그랜드챌린지는 민관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실증 프로그램으로, UAM을 운용하는 데 필요한 기체 성능, 운항 절차, 교통관리 방식 등을 실제 환경에서 점검하고 개선하는 종합 테스트다.
국토부는 이번 설명회에서 지자체 담당자들에게 UAM 사업을 준비하면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지역 공역(공중 영역)의 제약, 기후 조건, 인프라 배치 방식, 안전 점검 체계 등에 대해서도 상세히 안내할 예정이다. 이는 지역 특성에 따른 맞춤형 사업 준비 및 안전기준 설정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국토교통부 김홍목 모빌리티자동차국장은 이번 설명회가 “중앙정부의 기술력과 지자체의 지역 전문성이 만나, 가장 현실적이고 안전한 도심항공교통 서비스를 구현하는 실질적 협력의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 같은 정부 주도의 설명회와 사업 안내가 지속된다면, 향후 도심항공교통의 조기 상용화는 물론 지역 산업과 교통체계에도 큰 변화가 예상된다. 특히 지방정부의 역할이 커진 만큼, 지역 간 협업과 경쟁이 동시에 활발해질 가능성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