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천구, 공원에 로봇이 커피 배달…자율주행 시대 성큼

| 연합뉴스

양천구가 9월 1일부터 지역 내 주요 공원에서 자율주행 배달로봇을 활용한 무인 식음료 배달 서비스를 본격 운영하기 시작했다. 실제 공공 공간에서 상용화된 배달 로봇 서비스는 아직 드물기 때문에, 이번 시도는 도심형 스마트 인프라 실험으로 주목받고 있다.

서비스가 시작된 곳은 양천공원, 오목공원, 파리공원으로, ‘양천누리온’이라고 명명된 배달로봇이 각 공원 내 주문 장소까지 음료나 간단한 먹거리를 자율주행으로 배달한다. 사용자는 ‘로보이츠’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주문하며, 로봇은 지정된 가맹 음식점을 방문해 음식을 받아 전달한다. 이용자가 로봇 도착 알림을 받으면, 앱을 통해 로봇의 문을 열고 물품을 수령하는 방식이다.

해당 사업은 서울경제진흥원의 ‘2024년 로봇 기술사업화 지원 사업’ 공모에 선정된 후 양천구가 추진한 것이다. 단순한 실험 단계를 넘어 정식 서비스로 도입된 점이 특징이며, 공원 내 스마트 로봇 서비스 확대의 일환으로 평가된다. 앞서 양천구는 이들 공원에 재활용품 수거와 안전 순찰 역할을 수행하는 로봇 ‘개미’를 도입해 전국 최초 사례로 주목받은 바 있다.

양천구는 지난해부터 공원 주변 지역 상권과 협력해 배달존 인프라를 단계적으로 구축했으며, 현재 16곳의 가맹점을 확보한 상태다. 구는 앞으로도 참여 매장을 지속 모집해 로봇 배달 서비스 영역을 넓혀간다는 계획이다. 또한 배달 비용이 무료이며 최소 주문 금액 제한도 없어, 커피 한 잔처럼 소액 주문도 부담 없이 가능하다는 점은 시민 편의를 높이는 요소로 작용한다.

배달 시간은 평균 10~20분 이내로, 로봇 1대당 최대 9잔의 음료를 실을 수 있다. 이는 공원 내 산책이나 여가 활동 중 손쉽게 이용 가능한 편리함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반응이 기대된다. 이기재 양천구청장은 “로봇이 재활용품을 수거하고 음식을 배달하는 시대가 현실이 되고 있다”며, 주민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스마트 기술의 도입을 계속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이 같은 흐름은 향후 도심 내 로봇 기반 서비스의 정착 가능성을 엿보게 한다. 특히 고령화와 인력 부족이 이슈로 부각되는 가운데, 무인 기반 기술이 대체재로 주목받고 있는 만큼, 관련 인프라 확산 및 제도적 정비 여부가 실질적 상용화를 가늠하는 척도가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