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스타트업, 美 고율 관세에 흔들... '중국 의존 공급망'이 불씨

| 연합뉴스

국내 정보통신기술(ICT) 스타트업들이 미중 무역 갈등 장기화 속에 미국의 고율 관세 정책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국, 대만 등 특정국가에 공급망을 집중시킨 기업들일수록 비용 부담이 커지고 있어 조속한 대응책 마련이 시급해 보인다.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산하 코리아이노베이션센터(KIC) 실리콘밸리는 9월 2일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미국 수출을 주력으로 하는 국내 ICT 스타트업들의 상당수가 15% 이상의 고율 관세를 부담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이는 스타트업들이 중국 등 고관세 적용 국가에서 부품을 수입해 미국으로 완제품이나 하드웨어를 수출할 경우, 미국이 부과하는 추가 관세가 최종 제품 가격에까지 반영되기 때문이다.

보고서는 이러한 관세 부담이 미국 시장 진입과 사업 확장에 실질적인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미국 외에도 동남아시아, 인도 등 신흥 시장으로 진출을 확대하고, 특정 국가에 편중된 공급망 구조를 다변화하는 방향으로 전략 전환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예컨대 중국에 편중된 조달 구조를 동유럽이나 아세안(ASEAN) 국가로 분산시켜 리스크를 줄여야 한다는 설명이다.

투자 환경 측면에서도 부정적인 영향이 감지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관세 부담뿐 아니라 전체적인 공급망 재편에 따른 비용 상승, 무역 환경의 불확실성 확대가 벤처캐피털의 투자 심리를 위축시킬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자금력이 부족한 스타트업의 경우 미국의 현지화 정책에 부응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는 점에서 그간의 성장세가 둔화될 위험도 함께 제기된다.

이러한 구조적 제약에도 불구하고, 보고서는 국내 ICT 스타트업이 생존을 넘어 도약하기 위해서는 기술력 기반의 제품 차별화 전략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동시에 시장의 요구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공급망 유연화, 다양한 국가를 통한 시장 다변화, 지속적인 투자 유치를 위한 전략적 접근이 병행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 같은 흐름은 향후 미중 무역 정책의 변화와 신산업 육성을 둘러싼 글로벌 경쟁 환경에 따라 더욱 복잡해질 수 있다. 따라서 국내 정부 차원의 정책 지원과 스타트업의 민첩한 대응 역량 강화가 병행되지 않는다면, 시장 내 입지 확보에 적지 않은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