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과 국가보안기술연구소가 주최한 국제 사이버 보안 행사 ‘사이버 서밋 코리아 2025’가 9월 9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막됐다. 이번 행사는 급변하는 디지털 환경 속에서 각국이 직면한 사이버 위협에 공동 대응하기 위한 논의를 본격화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글로벌 사이버안보를 위한 한발 앞선 노력’을 주제로 한 이번 행사는 9일부터 11일까지 사흘간 진행되며, 30개국에서 온 60여개의 정보·보안 기관 대표단과 보안 전문가들이 대거 참석했다. 점점 정교하고 지능화되는 사이버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국가 간 정보 교류와 협력을 강화할 필요성이 커지면서, 이번 포럼은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종석 국가정보원장은 개회사를 통해 사이버 위협이 우리나라의 인공지능 산업 성장에도 위협이 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사이버 공간의 안전과 신뢰가 확보되어야만 인공지능 기술의 진정한 발전도 가능하다”며, 보안 인프라의 탄탄한 기반 위에 디지털 혁신이 가능하다는 점을 언급했다.
이번 행사에서는 각국의 사이버안보 정책과 기술 동향을 공유하고, 국가 간 협업 모델 구축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예정이다. 특히 기업과 정부가 함께 보안 생태계를 조성하고, 공격 대응 체계를 고도화하는 방안이 주요 의제로 다뤄진다. 사이버 보안은 단순한 기술 문제가 아닌, 국가 안전과도 직결된다는 점에서 공조 체제가 필수적이다.
향후 이러한 국제 행사는 사이버 공간의 규범 정립과 공동 대응 체계 마련의 발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국제협력을 통해 사이버 위협에 대한 대응 속도와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며, 이는 곧 산업 보호와 기술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