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삼성·하이닉스에 러브콜… '미국만 바라보지 말라'

| 연합뉴스

미국 정부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현지 공장에 대한 장비 반출을 연간 단위로 허용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가운데, 중국은 한국 반도체 기업들이 미국 의존에서 벗어나 중국과의 협력 확대를 모색해야 한다는 주장을 내놓았다.

중국 관영매체 글로벌타임스는 9일 논평을 통해 미국이 자국의 국가안보를 이유로 한국 반도체 기업의 중국 내 활동에 규제를 가하고 있으며, 이는 공급망 불확실성을 키우고 기업들의 세계 시장 경쟁력을 위축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특히, 장비 반입이 지연되면 빠르게 진화하는 중국 반도체 수요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할 수 있어, 장기적으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생산 효율성과 기술경쟁력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실제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과거 미국 정부의 '검증된 최종 사용자'(Verified End User, VEU) 명단에 올라 중국 공장으로의 장비 반출이 비교적 자유로웠지만,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명단에서 제외되면서 장비 반출에 제약이 커졌다. 현재는 미국 정부가 연간 단위로 심사·승인하는 체제로 전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데, 이는 기업 입장에서 행정 부담과 전략적 불확실성을 동시에 확대시키는 조치로 받아들여진다.

글로벌타임스는 한국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이 중국 시장과의 긴밀한 연계 구조 위에 세워져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한국 정부와 기업이 지나치게 미국 일변도로 기울 경우, 전략적으로 취약해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한중 간 보다 구조적인 협력 메커니즘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비치며, 공동 연구소 설립이나 산업 연합체 구성을 제안하기도 했다. 이는 기술 공유와 정보 교환을 통해 양국 간 시장 대응력을 키우자는 제안으로 풀이된다.

중국은 자국이 한국 기업에 제공할 수 있는 거대한 시장과 생산 규모, 장기적 수요 기반을 내세우며 전략적 협력의 이점을 강조하는 동시에, 미국의 보호무역주의적 접근이 장기적으로 아시아 기술 산업의 역동성을 저해할 수 있다고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사실상 한국에 대해 미중 전략 경쟁 속 균형 잡힌 자세를 견지할 것을 촉구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 같은 흐름은 향후 미중 기술 갈등이 더욱 심화될 경우, 국내 반도체 기업들의 글로벌 전략 재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정부 차원에서 외교적 해법을 마련하거나, 기업 스스로 새로운 시장과 공급망을 다변화하는 노력이 병행돼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