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로직스가 바이오의약품 시장 내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자회사인 삼성에피스홀딩스를 통해 새로운 기술 기반 자회사를 오는 11월까지 설립하기로 했다. 이번 신규 법인 설립은 기업 분할 작업과 함께 미래 성장을 겨냥한 전략의 일환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9월 11일 금융당국에 증권신고서를 정정 공시하며, 현재 인적 분할을 준비하고 있는 삼성에피스홀딩스가 분할 기일 이후, 재상장 신청 직전 영업일인 2025년 11월 14일까지 신설 자회사를 설립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삼성에피스(삼성바이오에피스의 지주 역할을 하는 중간지주사)는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사업을 주축으로 해왔지만 이제는 고부가가치 신약 개발로 사업범위를 확장하려는 전략을 추진 중이다.
이번에 새롭게 출범할 자회사는 차세대 바이오 기술을 개발하고 상용화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특히, 이중항체 기반의 항체·약물 접합체(ADC) 플랫폼 개발이 주요 과제로 제시됐다. 기존의 단일항체 ADC는 암세포를 표적으로 삼는 항암제 기술로 평가받지만, 이중항체 구조는 그보다 더 정밀하고 강력한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차세대 기술로 꼽힌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측은 암세포 살상력 제고와 내성 극복에서 유리한 구조를 설계함으로써 향후 다양한 질환에 적용 가능한 신약 후보물질을 선보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중장기적인 기술 포트폴리오 확장을 위한 움직임도 언급됐다. 펩타이드(단백질을 구성하는 단위물질) 관련 요소기술 플랫폼 개발도 검토 중이며, 이를 통해 바이오 영역에서의 신기술 확보와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겠다는 구상이다.
신설 자회사의 투자 재원은 삼성에피스홀딩스가 인적 분할을 통해 승계받는 자금에서 마련될 예정이다. 현재로서는 외부에서 자금을 조달할 계획은 없다고 회사는 강조했다. 이는 그룹 차원의 유동성을 확보하고 내부 자원을 활용해 안정적인 연구개발 기반을 다지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이 같은 흐름은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단순 위탁생산(CMO) 중심의 사업 모델에서 벗어나, 고유의 신약 개발 역량을 보유한 종합 바이오 기업으로 진화하려는 방향성과 맞닿아 있다. 향후 바이오 기술 경쟁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이러한 선제적 투자는 글로벌 바이오 시장에서의 경쟁 우위를 확보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