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란티어, 한국서 테슬라·엔비디아 다음 인기주…AI·국방 수혜로 '쑥쑥'

| 연합뉴스

미국의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 기업 팔란티어가 국내 개인 투자자들 사이에서 가장 주목받는 해외 주식 중 하나로 부상했다. 기술 기반의 고부가가치 산업에 속한 특성에 더해, 최근 미국 국방부와 대규모 계약을 체결하면서 주가 역시 크게 상승한 것이 투자심리를 자극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예탁결제원이 9월 13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국내 투자자들이 보유한 팔란티어 주식의 총액은 지난 10일 기준 58억5천만 달러(약 8조1천329억 원)로, 테슬라와 엔비디아에 이어 외국 주식 중 세 번째로 많았다. 올해 초까지만 해도 23억 달러 규모로 보관 금액 순위에서 8위에 불과했지만, 불과 9개월 만에 두 배 이상 증가하며 5계단이나 순위가 상승했다.

팔란티어는 방산 및 정보 분야에서 특화된 AI 분석 시스템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2003년 미국에서 설립돼 중앙정보국(CIA)과 군 등 정부기관에 첩보 분석 도구를 공급하며 성장했고, 최근에는 민간 기업 고객까지 확대하고 있다. AI가 조직 내 빅데이터를 분석해 이상 탐지, 전략 수립, 운영 효율화를 지원하는 것이 핵심 기술로, HD현대인프라코어와 삼양식품 등 일부 한국 기업도 팔란티어의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최근 팔란티어는 미 육군과 최대 100억 달러(약 13조8천억 원) 규모의 10년 장기 계약을 체결해, 미국 국방부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소프트웨어 계약 중 하나로 기록됐다. 이에 따라 주가는 지난해 말 75.63달러에서 지난 12일 기준 164달러까지 급등했으며, 올해 2분기에는 처음으로 분기 매출 10억 달러를 돌파하고 주당 0.16달러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이러한 성장세는 방위산업과 민간 AI 기술 수요 양쪽을 모두 흡수하는 팔란티어의 사업 구조가 시장에서 신뢰를 얻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지나친 고평가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팔란티어의 주가수익비율(PER)이 550배에 달해, 일반적인 AI 기업의 PER 평균인 20∼30배를 훨씬 상회하고 있다. 시장 변동성에 민감하게 반응할 가능성이 있어, 일시적인 기대감만으로 접근하기보다는 향후 실적 지속 여부에 따른 평가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많다.

전문가들은 B2B(기업대상) AI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만큼 팔란티어의 기술력을 감안해볼 때, 높은 주가 수준도 일정 부분 정당화될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경쟁 심화와 시장 변화에 따라 해당 기업이 그 중심을 계속 지킬 수 있을지가 향후 관전 포인트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 같은 흐름은 향후 AI 기반 산업이 미치는 영향과 국방·정보 시장에서의 기술 우위 경쟁이 본격적으로 전개될수록 더욱 주목받을 가능성이 크다. 동시에 고평가에 따른 변동성은 언제든 현실화될 수 있기에, 투자자들의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