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이트햇 해커, DeFi서 연 수익 수백만 달러…기존 보안직 10배

| 서도윤 기자

미국 내 대표적인 화이트햇 해커들이 탈중앙 금융(DeFi) 분야에서 거액을 벌어들이며 기존 사이버보안 업계 연봉을 훌쩍 뛰어넘고 있다. 전통적인 사이버보안 전문가의 연봉이 최대 30만 달러(약 4억 1,700만 원) 수준인 데 비해, Web3 생태계에서 활동하는 상위 화이트햇 해커들은 연 수익 수백만 달러를 기록 중이다. 화이트햇 해커의 존재가 DeFi 보안의 핵심으로 부상하면서 이들의 가치는 그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

버그 바운티 플랫폼 이뮤너파이(Immunefi)의 공동 창립자이자 최고경영자(CEO)인 미첼 아마도르(Mitchell Amador)는 “우리 플랫폼 랭킹 상위 연구자 중 연 수익이 수백만 달러에 이르는 경우가 다수”라며, “이는 평균 사이버보안 연봉인 15만~30만 달러(약 2억 900만~4억 1,700만 원)를 훨씬 넘어선다”고 밝혔다.

암호화폐 업계에서 화이트햇은 윤리적 해커를 의미한다. 이들은 탈중앙화 프로토콜의 취약점을 악용하지 않고 공개적으로 제보하며, 그 대가로 보상을 받는다. 일반 기업의 고용된 보안 인력처럼 고정 월급을 받는 대신, 해커들은 직접 취약점 대상을 정하고 작업 시간도 자율적으로 설정한다. 발견한 보안 문제의 영향력에 따라 급여가 결정되는 성과 기반 구조가 이들을 전통적인 보안직보다 더 매력적으로 만들고 있다.

이뮤너파이는 지금까지 거버넌스 토큰, 스마트컨트랙트, 프로토콜 등 다양한 범주의 보안 누수 조사를 통해 총 1억 2,000만 달러(약 1,668억 원) 이상을 보상금으로 지급했다. 이 가운데 30명 이상의 화이트햇이 이미 억만장자(미국 기준) 대열에 합류했으며, 그 수도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점점 복잡해지는 DeFi 생태계에서 보안은 사용자 신뢰를 좌우하는 핵심 요소다. 이뮤너파이와 같은 플랫폼을 통해 화이트햇 해커들이 지속적인 참여를 이어가는 한, Web3 보안은 기존 인터넷보다 더욱 견고한 형태로 진화할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