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보안 스타트업 레메디오(Remedio)가 첫 번째 외부 투자 유치에서 6,500만 달러(약 936억 원)를 확보하며 본격적인 글로벌 확장과 인공지능(AI) 기술 혁신에 나선다. 2019년 설립된 레메디오는 조정 오류(misconfiguration)라는 기업 보안의 사각지대를 실시간으로 식별하고 자동으로 수정하는 기술력을 기반으로 주목받고 있다.
레메디오는 기존 보안 솔루션들이 경고만 내보내는 방식과 달리, 문제를 실시간으로 해결하면서도 업무 연속성을 보장하는 자동 복구 기능을 제공한다. 해당 플랫폼은 사용자 단말기부터 격리된 서버 환경까지 포괄하며, 고도로 규제된 국방 및 헬스케어 분야에서도 사용 가능한 SaaS 및 온프레미스(에어갭) 환경을 모두 지원한다. 이를 통해 보안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하려는 기업들의 니즈를 충족시킨다.
현재 레메디오는 아마존(AMZN), 코카콜라 HBC, 크래프트 하인즈(KHC), 이튼(ETN), 콜게이트 파몰리브(CL) 등 글로벌 대기업과 포춘 500대 기업을 포함한 수백 개 고객사를 확보하고 있다. 창업자인 탈 콜렌더(Tal Kollender) 최고경영자(CEO)는 전 이스라엘 군 정보통신부대 출신 해커로, 민간과 군 양쪽에서의 보안 경험을 기반으로 회사를 설립했다. 그는 “초기에는 외부 투자 없이 수익 기반의 자생적 성장을 이뤘지만, 이제는 글로벌 확장과 제품 고도화를 위한 시점”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투자 라운드는 베세머 벤처 파트너스가 주도했으며, TLV 파트너스와 픽처 캐피털이 함께 참여했다. 베세머의 파트너인 아담 피셔는 “레메디오는 다른 보안 솔루션이 놓치기 쉬운 핵심 보안 취약점을 실질적으로 제거하는 역량을 입증했다”며 “수많은 보안 제품이 쏟아지는 시장에서 이처럼 고객에게서 극찬을 받는 사례는 드물다”고 말했다.
레메디오는 이번 투자를 통해 AI 기반 보안 플랫폼 개발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장기적으로는 디바이스 보안 설정, 컴플라이언스, 패치 및 취약점 관리 기능을 단일 플랫폼으로 통합하여 엔터프라이즈 전반의 보안 상태를 자동으로 유지할 수 있는 인텔리전트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
AI 기반의 지속관리 솔루션이 사이버 공격의 고도화에 대응하는 데 핵심으로 떠오르면서, 레메디오의 차별화된 접근 방식은 보안 시장에서 주목할 만한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번 투자 유치는 단순한 자금 확보를 넘어, AI 보안 분야에서의 기술적 도약과 글로벌 입지 강화의 신호탄이 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