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주변을 정밀하게 감시할 수 있는 초소형 군집위성 기술의 핵심 기능을 검증할 위성이 오는 12월 발사될 예정이다. 이번 검증은 정부가 개발 중인 차세대 감시 체계의 실제 운용 능력을 궤도 위에서 처음으로 확인하는 중요한 단계다.
우주항공청은 9월 18일 제주에서 열린 ‘제4회 초소형 군집위성 활용 워크숍’에서 해당 검증위성을 오는 12월 미국의 민간 발사 기업 로켓랩의 일렉트론 발사체를 통해 궤도에 올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위성은 ‘군집위성 검증기’로, 향후 대량 배치될 군집위성들이 실제로 어떻게 협업하고 정밀하게 지구를 관측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용도다.
검증위성은 매일 오후 일정한 시간에 지상을 촬영할 수 있는 궤도에 배치된다. 같은 시간대에 반복적으로 촬영이 가능하도록 한 전략적 궤도 설정은, 관측 자료의 일관성과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조치다. 이번 비행을 통해 위성의 궤도 유지 능력, 일정 간격을 유지한 배열 성능, 추력(위성 자세를 조정하는 기술력) 및 영상 촬영 품질 등 다양한 정밀 기술이 실제 환경에서 검토된다.
이 사업의 기반이 되는 기술은 이미 지난해 4월 발사된 1호기에서 부분적으로 검증되었다. 1호기는 현재까지 국내외 1700여 회의 촬영을 통해 약 2만여 장의 고화질 영상자료를 수집했으며, 이중 일부는 국내 전문가들에게 지표반사도나 분광지수(식생이나 대기 상태 등을 파악하는 데 활용되는 데이터) 형태로 분석되어 시범적으로 제공되기도 했다.
향후 군집위성 2~6호기는 2026년, 7~11호기는 2027년 각각 누리호를 통해 추가 발사될 예정이다. 이렇게 다수의 위성을 동시에 운영하는 군집 시스템은 대형 정지궤도 위성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비용과 빠른 순환 촬영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정부는 이를 활용해 재난 상황, 국방 감시, 기후 변화 대응 등 다양한 분야에 빠르게 대응할 계획이다.
이 같은 흐름은 국내 위성 운용 기술의 자립도를 크게 높일 뿐 아니라, 인공위성 영상자료 활용 생태계 전반을 확대해 관련 산업의 성장 촉진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특히 위성 정보의 민간 활용 영역이 넓어지면, 미래 신산업 창출의 촉매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