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금융위원회가 최근 빈발하는 해킹 사고에 대응하기 위해 공동 대응체계를 강화하기로 했다. 두 기관은 사이버 공격에 특히 취약한 금융·정보통신 분야의 보안 협력을 한층 높이는 방안을 9월 19일 공식 발표했다.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합동 브리핑에는 류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과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참석해 구체적인 대응 전략을 밝혔다. 최근 금융사 및 주요 정보통신 시스템을 겨냥한 해킹 시도가 증가하면서, 개별 대응보다 범정부적 협력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된 데 따른 조치다.
이번 협력 강화의 핵심은 위협 정보를 공유하고, 실시간 대응 능력을 제고하는 데 있다. 예를 들어 해킹 시도가 포착되면 과기정통부 산하의 정보보호센터와 금융위 산하 금융보안원이 즉각적으로 정보를 교환하고 합동 분석에 돌입하게 된다. 이는 전통적으로 각 부처별로 운영되던 대응 체계를 넘어선 변화다.
정부는 특히 최근 글로벌 해커조직들이 우리나라 금융기관을 표적으로 삼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정보 탈취뿐 아니라 금전적 목적의 랜섬웨어 공격이 늘고 있기 때문에, 선제 대응이 중요하다는 판단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보안 시스템 고도화, 취약기관 점검, 민간기업과의 협력 확대 등 다각적인 안을 검토 중이다.
이 같은 대응 조치는 디지털 환경의 확산과 함께 높아지는 사이버 리스크를 국가 차원에서 관리하려는 전략의 일환이다. 앞으로도 유사한 분야 간 협력 모델이 늘어날 가능성이 있으며, 이를 통해 해킹 위협에 보다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