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 기술이 상업화의 문턱에 다가서면서, 업계 전반에서 새로운 혁신의 물결이 나타나고 있다. 수십억 달러에 달하는 민간 및 공공 부문 투자가 집중되고 있으며, 그 성과물은 점차 시장에 등장하고 있다. 특히 신약 개발, 첨단 소재 설계, 금융 알고리즘 최적화, 차세대 보안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양자컴퓨팅의 응용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다.
양자컴퓨터의 핵심 역량은 패턴 인식과 복잡한 최적화 문제 해결 능력에 있다. 다만, 현 수준의 양자 하드웨어로는 이러한 기능을 안정적으로 구현하기에는 한계가 명확하다. 문제는 ‘스케일업’만으로는 해결되지 않으며, 산업계 주요 기업과 연구기관들이 ‘양자 오류 수정’ 기술로 무게중심을 옮기고 있다. 오류에 민감한 큐비트를 논리 큐비트로 변환하고, 이를 노이즈나 탈동기화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새로운 형식의 부호 기법들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리버레인(Riverlane), 큐컨트롤(Q-CTRL), 케드마(Qedma) 등은 이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
또 하나의 뚜렷한 흐름은 ‘미들웨어 생태계’의 부상이다. 초기에는 기업들이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일체형 자체 스택을 개발하는 경향이 강했으나, 지금은 특정 계층에 특화된 기업들이 협업 구조를 통해 견고한 공급망을 구축하고 있다. 퀀텀머신즈(QM Technologies)의 제어 시스템, 클래식 테크놀로지(Classiq)의 SW 설계 도구 등이 그 예다.
‘스케일아웃 아키텍처’도 주목받는 전략 중 하나다. 기존에는 성능 향상을 위해 단일 양자처리장치(QPU)에 큐비트를 더 많이 집적하는 방식이 주류였지만, 이제는 여러 QPU를 연결해 하나의 분산형 양자컴퓨터처럼 운용하는 기술이 현실화되고 있다. 뉴퀀텀(Nu Quantum), 멤큐(memQ), 이카루스퀀텀(Icarus Quantum) 등은 다중 QPU 간 상호 연결성과 통신 기술로 주목받는다. 다만, 고체 기반 시스템에서 광신호로의 트랜스덕션은 여전히 기술적 난제로 남아 있다.
양자 연산 입출력 및 극저온 환경 유지 기술도 상당한 진전을 보이고 있다. 수퍼컨덕팅 및 실리콘 기반 큐비트 시스템에서는 수천여 개의 물리 케이블이 필요해 냉각 시스템 효율성을 심각하게 제약하는데, 최근에는 케이블 수를 줄이면서도 전송 효율을 높인 솔루션이 잇따라 등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델프트 서킷(Delft Circuits)의 고밀도 배선, 디락(Diraq)의 극저온 CMOS 제어칩, 큐폭스(Qphox)의 광섬유 기반 통신 방식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기술 흐름과 더불어, 인수합병(M&A)을 통한 양자 생태계 재편 역시 가속화되고 있다. 아이온큐(IonQ)는 올해에만 옥스퍼드 아이오닉스(Oxford Ionics), 라이트싱크(Lightsynq), ID 퀀티크(ID Quantique), 큐바이텍(Qubitekk), 카펠라 스페이스(Capella Space) 등 다양한 전문 기업들을 인수하며 영역 확장에 박차를 가했다. 초기 양자 세대의 스타트업들이 이제는 전략적 인수 주체로 부상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처럼 양자컴퓨팅을 둘러싼 기술과 비즈니스 모델은 급격한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아직 갈 길은 멀지만, 산업 전반의 집단적 노력과 빠른 기술 혁신 속도를 감안하면, 상용화에 대한 기대는 실현 가능성에 점점 더 가까워지고 있다. 지금이야말로 미래 컴퓨팅의 기반 기술을 다질 최적의 시기라는 분석이 나온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