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건스탠리, 한국 반도체 '매력적' 평가…SK하이닉스·삼성전자 수혜 기대

| 연합뉴스

미국의 투자은행 모건스탠리가 한국 반도체 산업에 대한 평가를 상향 조정하면서, 국내 반도체 업황에 대한 기대감이 한층 높아지고 있다. 특히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호조가 이어질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 등 주요 업체가 수혜를 입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모건스탠리는 9월 21일(현지시간) 발간한 보고서를 통해 한국 반도체 산업 전체에 대한 투자 의견을 기존의 ‘시장 평균 수준’에서 ‘매력적’으로 올렸다. 동시에 SK하이닉스에 대한 개별 평가 역시 ‘비중유지’에서 ‘비중확대’로 상향 조정했다. 회사는 이 같은 판단의 배경으로 메모리 반도체 수급 구조의 근본적 변화와 인공지능(AI) 관련 수요 확대를 들었다.

보고서에서는 특히 고대역폭 메모리(HBM)와 AI 서버용 D램, 모바일 기기에 들어가는 고성능 메모리 수요가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가격 변동성 역시 다시 활기를 띠고 있으며, 2027년을 메모리 경기의 정점으로 보는 시각도 제시됐다. 모건스탠리는 “과거와 다른 역학 구조가 펼쳐지며 여러 제품군에서 공급 부족이 확산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에 따라 SK하이닉스는 사업 구조상 HBM 부문에 강점을 갖고 있으며, 투자자 사이에서 단기 하방 위험(리스크)이 이미 인지된 만큼 추가적인 악재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해석이다. 나아가 일반 메모리칩 시장 역시 내년부터 뚜렷한 회복세에 접어들 것이란 전망이 제시됐다.

이와 함께 모건스탠리는 삼성전자, 일본의 키옥시아, 미국 샌디스크 등을 낸드플래시와 D램 등 전반적인 메모리 호황을 반영할 대표 업체로 꼽았다. 낸드 시장에선 고성능 SSD(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 제품의 수요가 AI 기술 발전에 따라 급증하고 있으며, 공급 부족 현상이 내년 중 가시화될 가능성도 언급됐다.

한편, 글로벌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최근 별도 보고서를 통해, 한국 증시가 각종 개혁 정책과 저평가 해소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저렴한 수준에 머물고 있다고 평가했다. 전체 상장 종목의 70%가 아직도 본래 가치에 도달하지 못했다는 분석도 담겼으며, 이를 토대로 향후 수익률 개선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나타났다.

이 같은 흐름은 향후 2~3년간 반도체 산업이 전통적인 경기 순환을 벗어나 구조적 성장기에 진입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특히 AI·클라우드·모바일 등 고성능 연산 기술이 실생활 전반으로 확대될 경우, 관련 인프라를 뒷받침하는 메모리 반도체의 전략적 가치도 더욱 부각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