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틱톡 미국 법인화 승인…美 기술 주권 수호 신호탄

|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의 미국 내 사업 구조 개편에 관한 미중 간 합의를 승인할 예정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로써 수년간 논란이 됐던 틱톡의 보안 우려 문제가 일정 부분 정리될 전망이다.

백악관 고위 관계자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주 후반 틱톡 관련 합의 내용을 뒷받침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할 계획이다. 해당 명령은 미국 내 틱톡 운영을 새롭게 구성된 법인을 통해 진행하고, 이것이 미국 법적 요건을 충족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틱톡은 전 세계적으로 수억 명 이상이 사용하는 인기 앱으로, 미국에서도 청소년과 젊은 층을 중심으로 폭넓게 사용돼 왔다. 하지만 모회사인 바이트댄스가 중국 기업이라는 점 때문에, 미국 정부는 개인정보 보호 및 국가 안보 위협 문제를 심각하게 제기해왔다. 2019년부터 이러한 우려는 본격적으로 부각됐고, 틱톡의 미국 철수를 요구하는 여론까지 형성됐다.

이런 상황에서 트럼프 행정부는 틱톡의 소유 구조를 변경하는 방향으로 해법을 모색해왔다. 지난 9월 14일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미중 고위급 무역 회의에서 양국은 틱톡 운영 방식에 관한 포괄적인 합의에 도달했으며, 이에 따라 미국 내 독립 법인을 새로 설립하고 지분 구조를 조정하기로 했다.

합의에 따르면 새 법인의 지분은 약 80%가 미국 측 투자자인 오라클 등에게 배정되며, 중국 바이트댄스는 20% 미만만 보유하게 된다. 동시에 이사회 구성에서도 미국 중심의 인사를 포함시키고, 미 정부가 지정하는 이사가 포함될 예정이다. 기술적 측면에서도 미국 사용자 데이터는 오라클이 구동하는 미국 클라우드 서버에 보관되며, 중국 측의 간섭을 차단하기 위해 콘텐츠 추천 알고리즘 역시 새롭게 개편된다.

틱톡 사용자 입장에서는 큰 변화 없이 기존 앱 사용이 유지되나, 서비스 운영과 기술 통제 주체가 실질적으로 미국 기업으로 전환되는 셈이다. 로이터 통신은 이번 행정명령 서명을 두고 미중 간 오랜 줄다리기의 마무리이자 틱톡의 미국 내 지속 운영을 위한 공식적 경로가 마련됐다고 해석했다.

이 같은 흐름은 향후 기술 플랫폼에 대한 국가 안보 차원의 규제 강화 움직임과 맞물려, 글로벌 IT 기업들의 운영 방식과 시장 진입 전략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남길 수 있다. 특히 사용자 데이터 주권과 운영 거버넌스 문제가 국제 경제 질서의 핵심 이슈로 부상할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