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우주항법 핵심 거점 부상…KPS 지상시스템 유치 확정

| 연합뉴스

우주항공청과 제주도가 손잡고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구축을 위한 협력에 나서면서, 제주가 국내 우주산업의 핵심 거점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커졌다. 이번 협약은 항법 위성의 지상 통제 시스템을 제주에 설치해 국가 전략 인프라의 지역 분산을 꾀하는 동시에, 지역산업 활성화까지 염두에 둔 결정이다.

9월 22일, 양 기관은 제주도청에서 KPS 개발 사업과 연계한 우주산업 육성 협력사업을 공동 추진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KPS는 우리나라가 독자적으로 구축하는 위성기반 위치·항법·시각(PNT, Positioning, Navigation, Timing) 시스템으로, 오는 2035년까지 단계적으로 개발돼 운영에 들어갈 예정이다. 이는 미국의 GPS, 유럽의 갈릴레오, 중국의 베이더우와 같은 글로벌 항법 시스템과 유사한 형태로 설계되며, 주요 기술 자립과 정보보안 강화를 위한 핵심 국가 프로젝트다.

이번 협약에 따라 우주항공청은 KPS 위성과 지상 간 교신 및 통제를 담당할 주요 지상 시스템 시설들을 제주 서귀포시 하원테크노캠퍼스 부지에 조성한다. 여기에는 위성의 상태를 추적하고 명령을 전달하는 위성관제센터, 신호 수신 장치인 안테나국, 신호 이상을 모니터링하는 감시국 등이 포함된다. 제주가 선택된 것은 적도와 가까운 지리적 이점 때문으로, 이 지역은 KPS 위성이 운용될 경사궤도와 연계된 신호 포착 및 관리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제주도와 우주항공청은 단순한 시설 설치를 넘어서 지역경제 및 산업 생태계와의 연계를 강조하고 있다. 양 기관은 기술 기반 응용서비스 실증사업을 함께 발굴하고, 전문 인력을 체계적으로 육성하는 한편, 지상 시스템 설치로 인한 지역 주민과의 갈등을 줄이기 위해 상생 방안도 추진한다. 우주청은 이미 9월 16일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열어 우주항법 시스템 운영의 구체적 방향성과 지역 기여 방안을 소개했다.

오영훈 제주도지사는 “이번 KPS 지상 인프라 조성을 계기로 제주도 우주산업이 크게 도약하게 될 것”이라며, 전략 산업 유치를 위한 적극적인 행정 지원을 약속했다. 윤영빈 우주항공청장도 “제주가 한국 우주항법 기술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지역 균형 발전과 미래 신산업 성장이 함께 이루어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 같은 우주항법 인프라 확대는 향후 위치 정밀도 향상, 스마트 모빌리티 지원, 국방·재난 대응력 강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파급 효과를 낼 수 있다. 특히 제주가 중심지로 떠오르면서 향후 우주산업 관련 연구개발, 기업 유치, 고용 확대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점에서 지역 경제 전반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