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년간 우리나라의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의료 기술 가운데 병원정보시스템이 가장 많이 해외로 수출된 분야로 나타났다. 관련 산업 전체의 글로벌 진출 움직임도 꾸준히 확대되고 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9월 24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6년부터 2025년까지 총 40개 정보통신 의료기술 기업과 13개 의료기관이 정부 지원사업을 통해 해외 진출에 나섰다. 진흥원과 보건복지부는 해외 수요 증가에 대응해 2016년부터 해당 지원 사업을 공동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매년 7~9개 프로젝트를 선정해 건당 2억~3억 원 규모의 예산을 지원하고 있다.
참여 기관 수도 확대됐다. 사업 첫해인 2016년 5곳에서 2023년에는 15곳으로 3배 증가했고, 2025년 현재도 12곳이 새로 참여해 활발한 진출을 이어가고 있다. 해외에 진출한 주요 기술은 병원정보시스템이 43.3%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 원격의료 시스템(25.4%), 인공지능 기반 진단 보조 시스템(20.9%), 모바일 헬스케어 시스템(10.4%)이 뒤를 이었다.
기술 유형별 진출 비중에는 시간 흐름에 따른 변화도 감지된다. 2016년부터 2019년 사이에는 원격의료와 병원정보시스템 중심이었지만, 이후에는 인공지능 진단 보조 시스템이나 모바일 헬스케어 같은 첨단 기술의 비중이 점차 커지는 추세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디지털 헬스케어 수요가 다변화되면서 나타난 변화다.
우리 기술이 진출한 국가는 미국(11건), 우즈베키스탄(9건), 베트남(8건), 인도네시아(6건) 등으로 다양하다. 특히 베트남에 도입된 인공지능 기반 내시경 위암 진단 서비스는 사업 기간 중 현지 의료기관과 협력을 통해 실제 환경에서의 실증을 마쳤고, 관련 인허가도 취득했다. 사업 종료 후에는 시스템 공급 계약을 통해 수출 실적까지 이어졌다.
보건산업진흥원은 디지털 헬스케어는 국가마다 규제와 의료 생태계가 달라 상용화까지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특히 이러한 분야는 국내외에서 임상 효과와 수용 가능성을 입증받는 것이 중요한 만큼, 단기 실적보다는 장기적인 시각에서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복지부는 내년 바이오헬스 산업 해외 진출을 위한 예산을 올해 160억 원에서 502억 원으로 대폭 증액할 계획이다.
이 같은 흐름은 고령화, 만성질환 증가, 의료 접근성 개선 등의 세계적인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 ICT 기반 의료 기술 수요가 지속 확대되고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도 우리나라 기업들의 관련 분야 진출이 꾸준히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