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카카오·구글, 검색·추천 알고리즘 투명성 확대 나선다

| 연합뉴스

국내외 주요 온라인 플랫폼 기업들이 앞으로 콘텐츠와 상품의 검색·추천 기준을 보다 투명하게 공개하고, 이용자들이 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 경로를 확대하기로 했다. 이는 관련 서비스의 공정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민간 주도의 자율 규제 조치 중 하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9월 24일, 플랫폼 기업들과 함께 개최한 ‘플랫폼 민간 자율기구’ 분과 회의 결과를 발표하면서 이러한 계획을 밝혔다. 이번 논의는 특히 네이버, 카카오, 쿠팡, 구글, 메타 등 국내외 대형 플랫폼이 참여해 검색·추천 알고리즘의 투명성을 높이고, 사용자 피해를 줄이자는 공감대를 기반으로 이뤄졌다.

그동안 소비자들은 플랫폼 내에서 어떤 순서로 상품이나 정보가 노출되는지, 추천 콘텐츠가 어떤 기준에서 제공되는지를 명확히 알기 어려웠다. 이에 따라 데이터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추천 시스템의 운영 방식에 대한 부정확함이나 편향 가능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컸다.

이번 자율 규제안은 플랫폼 사업자가 검색 및 추천 기준에 사용되는 주요 요소와 그 설명을 공개하고, 이용자가 관련 정보를 요구할 경우 성실하게 응답해야 한다는 원칙을 담고 있다. 이미 다수의 기업들은 고객센터나 공지사항, 팝업 창 등을 통해 기준을 안내하고 있으며, 개인 맞춤형 추천의 경우 별도 안내도 병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에는 이 같은 정보 접근 경로가 더욱 다양해질 전망이다. 검색·추천 기준 및 설명 자료를 한국인터넷기업협회 누리집(https://www.kinternet.org/)을 통해 통합적으로 공개함으로써, 소비자들이 보다 쉽게 참고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이는 이용자의 알 권리를 확대하고 플랫폼 간 투명경쟁을 유도하는 긍정적 효과로 이어질 수 있다.

이 같은 흐름은 궁극적으로 플랫폼 주도의 알고리즘 운영에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고, 온라인 생태계 내 공정성과 신뢰 회복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규제보다는 민간 자율을 토대로 한 접근이라는 점에서, 자율 규제가 더 정착될 수 있는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