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전산망 '셧다운'…대전 화재로 정부 서비스 647개 멈췄다

| 연합뉴스

국가 주요 전산망이 처리되는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화재가 발생해 정부 업무 시스템 647개의 운영이 한꺼번에 중단됐다. 다만, 해당 시스템에 저장된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이뤄지는 재난복구 시스템을 통해 대부분 정상적으로 복구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화재는 2025년 9월 26일, 대전 본원의 전산실에 설치된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발생했다. 전산실은 클라우드 기반으로 운영되는 'G-클라우드 존'이며,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 자체적으로 구축한 프라이빗 클라우드 시스템이다. 해당 시스템은 데이터 저장 장치의 장애나 외부 사고에 대비해 실시간 백업 및 재난복구 기능을 갖추고 있다. 실제로 민간 클라우드 업계에 따르면 이 전산망은 데이터 백업을 최대 4중까지 분산 저장하는 체계를 유지하고 있어, 화재 발생 시에도 물리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설계돼 있다.

그러나 시스템 운영 중단은 불가피했다. 화재로 인해 서버 수십 대가 손상되며 즉시 전원 공급이 차단됐고, 그에 따라 정부 홈페이지나 민원처리 시스템인 '정부24'를 비롯한 핵심 업무 시스템이 동시에 먹통이 됐다. 이에 따라 다수의 공공 서비스 이용이 어려워졌고, 주민등록 정보 등 민감한 국가 데이터가 손실된 것 아니냐는 우려도 확산됐다.

행정안전부는 9월 27일 기자들에게 상황을 설명하며,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대전 본원을 중심으로 대구·광주에 각각 지역센터를 운영 중이라고 밝혔다. 이들 센터에는 재난복구 시스템이 일부 구축돼 있으나 설비와 기능은 각각 상이하며, 일부는 저장소만 있거나 백업 기능만 갖춘 형태라고 덧붙였다. 때문에 복구 작업이 순조롭게 이뤄지더라도 전산망의 완전한 정상화까진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사태는 한 곳에 집중된 전산 자원의 위험성과 동시에 재난복구 시스템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일각에서는 백업·복구 능력이 충분하더라도 실제 전원이 차단된 상황에서는 데이터 복원 작업 자체가 제한된다는 점도 지적하고 있다. 복원에 시간이 얼마나 걸릴지, 그 사이 국민 생활과 행정 처리에 어떤 차질이 생길지는 향후 관건이 될 전망이다.

이 같은 흐름은 향후 국가 전산망의 물리적 분산 운영 확대와, 보다 신속한 재난 대응 체계의 수립 필요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동시에 공급망 보안과 전력 안정성 강화 등 범부처적인 디지털 인프라 재설계 논의도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