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스페이스, 코스닥 상장 본격화… '한국판 스페이스X' 도약 시동

| 연합뉴스

초소형 위성 전문 기업인 나라스페이스테크놀로지가 코스닥 상장을 위한 절차를 본격적으로 진행하면서, 우주 산업의 민간 참여 확대 흐름에 중요한 이정표가 될 전망이다. 해당 기업은 9월 26일 금융위원회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기업공개(IPO)를 시작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나라스페이스는 2015년에 설립된 스타트업으로, 무게 수십 킬로그램 내외의 초소형 위성을 자체 개발하고 있다. 이 위성들을 통해 고빈도 지구관측 영상과 같은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관련 기술은 정밀한 전자ㆍ통신 기술이 필요해 진입 장벽이 높은 산업군에 속하지만, 나라스페이스는 자체 발사 위성의 지속 운영으로 기술력을 입증해왔다.

특히 2023년 11월 발사된 'Observer-1A' 위성은 미국의 민간 우주 기업 스페이스X의 팰컨9 로켓을 통해 궤도에 진입했고, 이후 22개월 동안 정상적인 임무 수행을 이어오며 안정성을 인정받았다. 정상 작동 기간이 길수록 장비의 신뢰성과 내구성이 검증되므로, 이는 향후 시장 신뢰 확보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 회사는 위성 제작부터 발사 후 데이터 처리 및 관련 플랫폼 제공까지 전 과정을 자체 소화하는 수직계열화된 사업 모델을 갖추고 있다. 이는 대부분 한두 개 영역에 집중하는 경쟁사 대비 두드러진 차별점으로, 고객 맞춤형 서비스 제공에 유리하다는 평가다. 실제로 연매출은 2023년 약 43억 원에서 2024년 상반기에만 75억 2천만 원을 기록하며 빠른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번 상장을 통해 모집된 자금은 위성이 모여 집단으로 운영되는 ‘위성 군집 시스템’ 구축과, 차세대 위성 개발 및 생산 설비 확충에 투입될 예정이다. 공모 주식 수는 172만 주이며, 희망 공모가는 주당 1만 3천100원에서 1만 6천500원 수준이다. 이를 기준으로 한 공모 금액은 최소 225억 원에서 최대 284억 원으로 예상된다. 수요예측은 10월 30일부터 11월 5일까지 진행되며, 상장 주관사는 삼성증권이 맡는다.

우주 산업은 과거 국가 주도의 프로젝트에서 벗어나, 최근 민간 중심의 시장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 나라스페이스의 이번 행보는 국내 스타트업이 우주 분야에서 자생력을 갖추고 글로벌 경쟁에 나설 수 있다는 신호탄으로 해석된다. 앞으로 상장 이후 투자 여력 확대를 통해 위성 기술 고도화와 해외 시장 진출이 본격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