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월 26일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의 대형 화재로 인해 정부 전산시스템이 중단된 가운데, 여섯째 날인 10월 1일까지 전체 복구 속도는 여전히 더디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인력을 총동원해 복구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전체 시스템 복구율은 10%대에 머물러 있는 상황이다.
이번 화재는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며, 정부 업무에 사용되는 핵심 데이터센터가 직격탄을 맞으면서 광범위한 전산장애를 초래했다. 현재 중단된 시스템은 총 647개에 이르며, 이 중 96개는 화재로 완전히 전소돼 복구가 불가능한 상태다. 이에 따라 정부는 대구센터의 민관협력 클라우드 인프라를 활용해 서비스의 빠른 정상화를 추진 중이다.
복구 작업은 전산 시스템의 중요도에 따라 우선순위를 달리해 진행되고 있다. 사용자 수가 많고 업무 영향도가 큰 1·2등급 시스템은 집중 복구 대상이며, 현재 1등급 시스템은 복구율이 50%를 넘긴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전체 시스템의 약 3분의 2를 차지하는 3·4등급은 상대적으로 후순위로 밀려, 전체적인 복구 속도는 지지부진한 상태다.
정부는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민원 관련 일부 서비스는 복구를 마친 상태다. '정부24' 홈페이지나 무인민원발급기 등 주요 서비스의 일부분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으며, 주민등록증 발급 같은 일부 업무만 여전히 중단된 상태다. 정부는 지난 30일, 중단된 전산 시스템의 목록을 전면 공개하며 정확한 피해 현황을 국민에게 알리고자 했다.
화재가 발생한 5층 7-1 전산실 외에, 같은 층 내 7·8전산실의 장비는 직접적인 화염 피해는 없었지만 분진 등으로 인해 정상 가동 전 정밀 청소와 재점검이 필요하다. 정부는 이 시스템들도 순차적으로 복구할 예정이다. 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차장(행정안전부 차관)은 일부 시스템이 기관 간 연계가 복잡해 복구에 시간이 더 소요될 것이라며 최대한 빠르게 안정화를 이루겠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를 통해 데이터센터의 물리적 안전성과 백업 체계, 클라우드 전환의 필요성이 다시금 드러났다고 지적한다. 앞으로 정부가 중장기적으로 어떤 방식으로 디지털 업무 인프라를 강화할지에 따라 유사 사태에 대한 대응력도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당장 4주 이상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복구 과정은 정부 디지털 전환의 방향성과 위기관리 능력에 대한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