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행정망 647개 중 24.6%만 복구…디지털 백업 전환 가속

| 연합뉴스

국가 중요 정보가 저장된 대전 본원의 전산실에 화재가 발생하면서 정부의 행정정보시스템 647개가 일시 마비된 가운데, 그중 일부 시스템이 순차적으로 복구되고 있다. 전체 시스템 중 159개가 복원됐으며, 이 중에는 핵심 등급으로 분류되는 주요 업무 시스템 22개도 포함된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10월 7일 기준으로 정보시스템 복구율이 전체의 24.6%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이는 화재 발생 12일째임에도 아직 4분의 3에 가까운 시스템이 여전히 작동하지 못하고 있다는 뜻이다. 전날까지는 국가데이터처의 농림어업총조사 서비스나 2020 경제총조사 관련 시스템 등 2개가 추가로 복구 목록에 올랐다.

문제의 발단은 지난 9월 26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에 설치된 7-1 전산실에서 발생한 대형 화재다. 해당 전산실은 완전히 전소되었고, 그 안에는 총 96개의 시스템이 포함돼 있었다. 정부는 긴급 복구 작업에 착수했으며, 해당 시스템을 대구에 위치한 센터로 이전하여 민간과 협력하는 클라우드 기반 방식으로 복구를 시도하고 있다.

이번 장애 대응은 단순한 장비 복구를 넘어 시스템 운영 체계의 구조적 전환까지 시도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전통적인 물리 서버 기반의 복구 방식에서 벗어나, 민관 협력형 클라우드를 적극 활용하는 방향으로 전환 중이다. 별도 하드웨어를 설치하지 않아도 빠르게 시스템을 정상화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이다.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은 이러한 전략의 중심에 있는 대구센터를 직접 방문해 무정전전원장치(UPS)와 배터리 시스템 점검에 나섰다.

다만, 복구 진행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시스템 복구가 더디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으며, 향후 유사 상황 재발 시 국가 주요 정보 인프라의 복원력을 어떻게 보완할 것인가에 대한 정책적 논의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당국은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국민의 생활과 밀접한 시스템부터 우선 복구하겠다는 방침을 밝히고 있다.

이 같은 흐름은 단순한 사고 복구를 넘어, 공공 부문의 디지털 백업 시스템과 클라우드 전환 방향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결국 이번 사태는 행정정보시스템의 기술 구조와 재난 대응 체계를 근본적으로 재점검하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